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效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0 04:08
본문
Download :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hwp
최근 사회심리학에서 발달한 집단역학을 교육현장에 도입하 여 주목받고 있는 협동학습구조에 관심을 갖고 학습구조理論과 사회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세 가지 중요한 논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의 연구목적은 협동학습구조가 경쟁학습구조와 개별학습구조에 비해 사회과의 학업성취效果가 더 크며, 특히 학업성취에 있어서 저급사고는 물론 고급사고에서도 학업성취效果가 더 크다는 것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사범교육레포트 ,
,사범교육,레포트






제 1 장 서론
제 1 절 문제의 제기
제 2 절 연구의 목적
제 3 절 연구의 내용
제 4 절 연구의 의의와 한계
제 5 절 연구의 설계와 논문의 구성
제 2 장 이론(理論)적 배경과 선행연구
제 1 절 학업성취의 요인
제 2 절 학습구조이론(理論)
1. 학교학습이론(理論)에서의 협동학습
2. 학습구조이론(理論)
3. 학습구조와 학업성취
4. 협동학습모형의 검토
제 3 절 협동학습과 학업성취에 관한 선행연구
1. 협동학습과 사회과 학업성취
2. 협동학습이 저급사고와 고급사고에 미치는 influence
3. 협동학습에서의 집단보상과 학업성취
4. 학습자의 학업능력수준과 협동학습의 학업성취
제 4 절 가설
1. 학습구조와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가설
2. 학습구조와 사회과의 저급사고와 고급사고 성취에 대한 가설
3. 학습구조와 학업능력수준의 상호작용效果에 대한 가설
제 3 장 연구의 방법
제 1 절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1. 독립변수
2. 종속변수
제 2 절 표집의 선택
제 3 절 연구의 절차
1. 사전훈련과 교사의 역할
2. 협동학습집단의 소집단구성
3. 학습처리해야할문제 및 수업과정
4. 통계분석의 방법
제 4 장 결과의 분석과 논의
제 1 절 결과분석
1. 학습구조와 사회과 학업성취效果
2. 학습구조와 저급사고 및 고급사고의 학업성취效果
3. 학습구조와 학업능력수준과의 상호작용效果
제 2 절 논의
제 5 장 요약 및 시사점
세 번째 논쟁은 `협동학습구조로 인하여 학업성취에서 가장 혜택을 받는 학습자가 누구인가?`하는 점이다. 그러므로 왜 협동학습구조가 다른 학습구조보다 학업성취에 效果가 있는지에 대한 분명한 설명(explanation)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연구들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를 설명(explanation)하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특히 학습자의 학업능력수준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즉 학습구조와 학습자의 학업능력수준 간의 상호작용效果가 있다는 것인데, 상위수준, 중위수준, 하위수준의 학습자에 따라 협동학습의 效果가 다르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적 연구들도 일관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사회과 학업성취에 있어 협동학습구조와 학업능력수준간의 상호작용效果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의 학습자가 가장 큰 협동학습의 혜택을 받는다는 것을 밝혀 보고자 한다.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效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업성취 요인으로서 교수-학습요인 중에 특히 학습구조가 고등학교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함이었다. 최근 사회심리학에서 발달한 집단역학을 교육현장에 도입하 여 주목받고 있는 협동학습구조에 관심을 갖고 학습구조이론과 사회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검토하여 세 가지 중요한 논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능력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토론식 수업에서만 소기의 목적…(투비컨티뉴드 )
순서
Download : 사회과 학업성취에 대한 협동학습의 효과 연구.hwp( 59 )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학업성취 요인으로서 교수-학습요인 중에 특히 학습구조가 고등학교 사회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알아 보기 위함이었다.
차경수(1993a)는 앞서 언급한 고급사고의 본질적인 특징들을 볼 때 고급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 첫째로 사회과의 수업분위기는 학생들에게 자유롭고 독창적인 사고의 기회가 주어져야 하고, 둘째로 학급분위기가 개방적이어야 하며, 셋째로 실제로 학생들에게 이러한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실천의 기회가 주어지고, 넷째로 교사들은 이를 격려해야한다는 네 가지 조건을 제시하였다.
다.
협동학습에 관한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투입과 산출에만 관심을 가졌지 협동학습과定義(정의) 내부를 들여다 보는 연구는 부족하였다.
제 2 절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술한 세 가지 논쟁에 대해 사회과교육에서의 해답을 얻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목적을 설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