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09:19
본문
Download :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hwp
(1)고려 초기의 정치제도
(2)건국초기 정치기구의 기능과 권력관계
(3)고려 초기 정치기구의 change(변화)
(4)새 정치기구의 성립
1)중서문하성
2)상서성
3)중추원
5) 삼사
6) 도병마사
7) 식목도감
8) 어사대와 낭사
9) 한림원과 문한관
10) 사와 도감
(1)고려 초기의 정치제도
고려의 중앙정치제도는 당제를 모방한 3성 6부를 중심으로 성종 대에 정비되기 처음 하여 문 종대에 완성되었다. 내봉성은 국왕 측근에서 왕명을 받들어 시행하는 행정기구로 보여진다. 권력기구인 4부 가운데 광평성과 내봉성은 정치면을 관장하고 순군부와 병부는 군사면을 담당하여 그 기능이 분화되고 있었다. 그런데 광평성을 호족세력의 대변기관, 내봉성을 국왕권 직속기관으로 병립시킨 견해를 이들 군사적인 두 기구에도 적용하여 순군부를 호족세력의 군사적인 협의체로, 병부를 왕명에 예속되는 행정기구로 본 견해…(省略)
순서
다.






,법학행정,레포트
본 자료는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을 알아보고 각각의 정치기구들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2)건국초기 정치기구의 기능과 권력관계
건국 직후 설치된 12개의 정치 기구 가운데 가장 중추적인 기능을 가진 것은 광평성∙내봉성∙∙병부의 네 기구였다. 건국 초기 태조 원년 6월에 단행된 인사발령에서 광평성 내봉성 순군부 병부 창부 의형대 도항사 물장성 내천부 진각성 백서성 내군 등 5성·4부·1대·1사·1군으로 모두 12관서에 인사이동이 단행되었다. 《고려사》백관지 서문에는 태조 2년에 3성,6상서,9사,6위가 설치되었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실제로 당제와 같은 3성 6부제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성종 때였다. 고려 초의 12관서 가운데 가장 중요한 4대 관부인 광평성 내봉성 순군부 병부를 비롯하여 모두 9관부가 태봉의 제도였다.
광평성은 신라의 집사성(집사성)과 같이 태봉국 때부터 시중(시중)을 수상으로 하여 정사를 총괄하는 최고 정무기관이었다. 건국 초부터 성종에 이르기까지는 태봉의 관제를 답습하여 광평성(광평성),내봉성(내봉성),순군부(순군부),병부(병부)를 근간으로 한 정치제도를 사용하였다.중앙의_정치_조직 ,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중앙의_정치_조직
설명
Download :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hwp( 37 )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
본 資料는 고려의 중앙 정치 조직을 알아보고 각각의 정치기구들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그런데 광평성은 호족에 의한 정책결정 기관이고 내본성은 왕권을 배경으로 정책을 시행하는 집행 기관이라 하여 양자를 대립시켜 이해함으로써 호족연합정권성의 주장을 뒷받침한 견해가 있다 다음으로 순군부는 전변하는 권한을 가진 병마들의 행사기관인데 대하여 병부는 단순히 군사업무를 담당한 단순한 군사행정기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