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問題點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01:42
본문
Download : 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문제점.ppt
장애인이동권에대하여 , 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문제점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인이동권에대하여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문제점.ppt( 84 )
,인문사회,레포트
장애인 이동권의 실태와 問題點
다.
장애인 이동권의 concept(개념)과 실태 問題點에 대해 分析한 data(자료)입니다.
순서
장애인 이동권의 개념과 실태 문제점에 대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설명
2. 지하철 승강장에서의 안전 문제
승강장에서의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를 벽으로 차단하고 지하철 출입문과 동시에 계폐되는 스크린 도어(PSD : Platform Screen Door)의 확대 설치(현재 서울의 신길역과 광주 지하철 도청역에서 시범운영)가 필요함.
또한 현재처럼 여러 가지 업무를 중복적으로 담당하는 공익요원이 승객의 안전문제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 전담 역무원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대책마련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2004년 철산역과 신도림역에서의 사고 이후 장애인이동권연대의 항의방문 시 서울도시철도공사와 서울지하철공사는 내부적으로 2008년까지 연차적으로 전역에 스크린도어 설치계획을 갖고 있다고 발표하였음. 그러나 서울지하철공사의 경우(115개 歷史(역사)) 그 구체적 계획을 보면 2004년 12개 歷史(역사)에 민간자본을 유치하여 설치협상을 진행 중이라는 것 이외에는 아무런 대안도 예산도 없는 상태이지만 제 2차 장애인복지발전 5계년 계획의 ‘장애인 이동편의 확충’ 영역에서는 이에 대한 고려나 계획, 예산 배정이 전무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