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problem(문제점)과 주요 쟁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3 20:51
본문
Download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문제점과 .hwp
그 단적인 예로 NEIS를 부르는 방법에까지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따 교육부는 명칭 공모를 통해서 NEIS의 formula 명칭을 ‘나이스’로 정했다.
인터넷(Internet) 민원서비스 http://www.neis.go.kr/html/sub02-01.html
교육부(2003), NEIS 중 교무․학사 업무 등 3개 영역 시행지침 발표
Ⅳ. NEIS의 주요 쟁점
(3)대국민 민원서비스 제공 여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교육행정 전자정부 교육행정정보화 네이스
순서
(2)성적 처리의 간소화
5. 효율성, 민주성 그리고 전문성
(1)시스템 개발
1. 교원의 업무경감 및 교육의 질 제고
(4)첨부서류의 감소
daum캠퍼스검색, 『네이스(NEIS)논쟁에 대한 찬성․반대』
Ⅴ. 결 론
3. 학생, 학부모 및 일반 국민의 만족도 제공
1.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란?
보고서의 주제로 삼게 된 이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또한 전자정부의 교육행정정보화의 일환으로 중요하게 생각된 것이었다. 이에 따라 국민의 정부는 대통령 자문기구인 전자정부특별위원회를 대통령 직속으로 구성하여 전자정부 구축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게 되었다.
Download :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문제점과 .hwp( 88 )
1. 각급 학교 및 교사에 대한 중앙통제의 문제
(5)공문서처리 및 보고업무의 감소
(4)법령 및 서식정비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이렇게 첨예한 대립을 낳고있는 NEIS라는 것이 어떠한 시스템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NEIS의 시행에 있어 어떤 부분이 쟁점이 되고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 참고문헌 Ⅲ.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보는 NEIS(NEIS를 통한 효능)
(4)교육행정의(定義) 생산성 증대 여부
2. 교원행정 업무담당자의 생산성 향상
(3)정책수립의 효율화 및 정책의 질 제고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교육행정 전자정부 교육행정정보화 네이스 / 김주애(2003), 『政府 次元의 NEIS 採澤過程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http://neis.moe.go.kr/index.jsp 교육인적자원부 NEIS 지원서비스 http://helpsys.moe.go.kr 인터넷 민원서비스 http://www.neis.go.kr/html/sub02-01.html daum캠퍼스검색, 『네이스(NEIS)논쟁에 대한 찬성․반대』 교육부(2003), NEIS 중 교무․학사 업무 등 3개 영역 시행지침 발표 국가인권위원회(2003),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관련 권고 http://cafe.daum.net/eduinfoclub http://www. cafe.daum.net/neisE ()
(2)각종 통계정보 작성시 data(자료)의 정확성 제고
2. NEIS의 사업범위
(6)인사업무의 신뢰성 확보
(3)물적기반 및 운영 환경조성
3. NEIS의 정의(定義) 도
(3)교육과정 운영업무의 간편화
설명
(2)data(자료)수집





교육인적자원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http://neis.moe.go.kr/index.jsp
(2)제증명 신청, 진정/건의/질의, 정보공개 등 국민의 민원서비스 접근성 향상
(1)학적관리의 용이
(1)전·출입 및 상급학교로의 전학 용이
Ⅲ.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보는 NEIS
(2)프라이버시권 대 교권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 교육행정 전자政府 교육행정정보화 네이스 / 김주애(2003), 『政府 次元의 NEIS 採澤過程에 관한 硏究』, 서울대학교
http://www. cafe.daum.net/neisE ()
그러나 이러한 NEIS는 채택과 그 시행과정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아직까지도 사회적 합의를 얻어내지 못하고 있따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그 피료썽을 주장하고 이에 따라 NEIS의 보급, 실행을 결정하고 있지만, 실 사용자가 될 교사들은 이를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는 것이다. 또 한편에서는 ‘네이즈’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에이즈보다 더 무서운 정보유출 바이러스라는 속뜻을 담고 있따 그리고 방송에서는 중립을 지킨다는 차원에서 ‘엔에이아이에스’로 읽기도 한다.
Ⅰ. 서 론
3. 알권리, 프라이버시권, 교권의 중요성
(3)알권리 대 교권
국가인권위원회(2003), 교육행정정보시스템 관련 권고
(7)정보부 및 정보부장의 업무경감
Ⅱ. NEIS란 무엇인가
(3)학생 정보의 제공을 통해 효율적인 학생생활 지도
김대중 정부는 the twenty-first century 지시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출범하여, 국민의 정부라는 기조아래 국가의 정보화를 국정의(定義) 최우선 과제(problem)중의 하나로 선택하였다.
http://cafe.daum.net/eduinfoclub
(1)프라이버시권 대 알권리
(1)정보화로 인한 비용의 감소 및 업무생산성 향상
(2)학부모의 알권리 충족 여부
(1)교권의 업무 경감 여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교육행정의(定義) 효율성 대 교육적 효용성의 중요성
(4)학생생활지도의 효율화
교육인적자원부 NEIS 지원서비스 http://helpsys.moe.go.kr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problem(문제점)과 주요 쟁점
다. 하지만 전교조는 이러한 formula 명칭에도 불구하고 표기된 대로 읽을 뿐이라며 ‘네이스’를 고집했다.
2. NEIS 도입의 효능성 여부
이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은 교육인적자원부가 교육행정의(定義)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이고, 교원의 업무 환경을 改善(개선) 하여 업무를 경감시키고, 단순히 교육 정보를 전산화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교육 목표와 내용, 방법, 시설을 포함한 모든 교육 여건 등 다각적인 면에서의 change(변화)를 통해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전국단위로 추진한 사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