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리원부품소재]LED조명, 해외 진행사항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19 15:35
본문
Download : 110310105935_.jpg
[온리원부품소재]LED조명, 해외 진행사항은?
[온리원부품소재]LED조명, 해외 진행사항은?
[온리원부품소재]LED조명, 해외 진행사항은?
순서
china(중국) 은 지난해까지 조명에너지 50%를 절감한다는 goal(목표) 를 내세웠다.
Download : 110310105935_.jpg( 72 )
다. 당장 내년까지 공공조명시장의 30%를 LED로 대체하는 12/30 프로젝트도 있다. 오는 2013년까지는 백열전구를 퇴출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07년부터 유도등을 LED로 대체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했고, 지난해 간판을 LED로 대체하는 사업도 진행한 바 있다. 지난해까지 조명에너지 20% 절감을 goal(목표) 로 내걸었다. 오는 2014년부터는 모든 백열전구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고 절전형 형광등이나 LED조명 판매만을 허용한다.
최근 고유가 기조로 전 세계적으로 재래식 조명을 퇴출하자는 운동이 활발하다. 내년에는 대형트럭과 버스에도 적용된다된다.
한국은 오는 2015년까지 조명의 30%를 LED조명으로 교체한다는 ‘LED조명 15/30 보급 프로젝트’를 시행 중이다.
대만은 지난해부터 정부 산하기관의 백열전구 사용을 금지했고, 지난해 이미 백열전구 생산을 금지했다.
정진욱기자 coolj@etnews.co.kr
설명
유럽연합(EU)은 지난 2009년에 회원국에 백열등 판매규제를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오는 2013년까지 35억달러를 지원해 유기금속화학증착기(MOCVD) 도입 시 평균(average) 150만달러를 지원해, 최근 들어 china(중국) 발 LED 공급과잉 우려까지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이를 통해 세계 조명 시장의 50%를 점유하겠다는 goal(목표) 도 세웠다.
미국은 오는 2012년부터 100와트(W)급 이상의 백열등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 지난해부터 100W급 백열전구 판매를 금지한 상황이며 올해 75W, 내년에는 60W, 2012년에는 40W급 백열전구 판매를 전면 불허한다.
레포트 > 기타
[온리원부품소재]LED조명, 해외 진행사항은?
일본에서는 마쓰시타전공, 도시바라이텍 등 80여개 회사가 모인 LED조명추진협의회(JLEDS)가 중심이 돼 LED조명 보급 활동에 나섰다. 올해 새로 생산하는 자동차와 소형트럭에 한해 전동식 LED 주간점등장치(DRL:Daytime Running Light)를 도입하게 했다. 호주는 백열등 판매규제에 이미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