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government , `이곳`](7.끝)관세청 통관포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7 02:06
본문
Download : 20060627.jpg
관세청이 작년 10월 개통한 ‘누리망 통관포털시스템(http://portal.customs.go.kr)’은 이제 임 관세사의 업무에 없어서는 안될 필수 요소다.
Download : 20060627.jpg( 94 )
순서





레포트 > 기타
설명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통관자동화는 지난 1994년부터 6년에 걸쳐 완성된 ‘전자문서교환(EDI)’ 방식으로 이뤄져 왔다.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태영관세사법인의 임상현 관세사(33)는 하루 100건의 수출입 통관신고를 전량 누리망 으로 처리한다.
임 관세사는 “무엇보다 기존 전자문서교환(EDI) 방식으로 처리하던 때와 비교해서 업무비용이 크게 줄었다”며 “처리 수수료 전액 무료라는 점이 누리망 방식의 최대 長點”이라고 말했다.
다.
실제로 태영관세사법인이 신고하는 수출입 통관 건수의 60∼70% 가량이 누리망 에 의해 처리된다 이에 따라 이 법인이 지불하던 월 average(평균) 250만원 가량의 EDI 수수료가 현재는 100만원 가량으로 크게 줄었다.
[전자government , `이곳`](7.끝)관세청 통관포털
[전자정부, `이곳`](7.끝)관세청 통관포털
[전자정부, `이곳`](7.끝)관세청 통관포털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
현재 관세청의 통관포털은 수출입 이전 단계, 즉 ‘통관’부문에만 국한돼 있다아 따라서 화물과 물류 부문은 아직까지 기존 처리방식에 의존하고 있다아 이에 관세청은 내년부터 이들 부문에 대한 정보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EDI 방식은 처리 데이터량에 따라 수수료가 부과되고 별도의 특정 회선과 프로그램만을 써야 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관세청은 현재 누리망 과 EDI의 병행 이용으로 불필요한 오해와 예산 중복 투자 등 문제가 야기된다는 지적에 따라 장기적으로 누리망 통관포털체제로 완전 전환을 추진중이다. 지난 3월 완료된 통관 단일창구 구축에는 40억원의 전자政府 예산도 수혈됐다. 또 수출입 업무의 원스톱 서비스 체계에 대한 피료썽과 전세계적인 누리망 통관시스템 체제로의 전환 추세에도 배치돼 왔다.
[전자government , `이곳`](7.끝)관세청 통관포털
따라서 관세청은 지난 2003년 수립한 정보화 3개년 계획에 의거, 그해 10월부터 작년 9월까지 총 133억원의 자체 예산을 투입해 누리망 전자민원시스템과 수출통관시스템을 구축·개통했다.
이렇게 탄생된 누리망 통관포털은 작년 10월 개통 이후 폭발적인 이용률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아 작년 말에 이미 당초 목표(目標) 이용률(5%)을 초과 달성, 지난달 말 현재 30%에 육박하고 있다아 이에 따른 일선 무역업체와 관세사·선사 등 관련 업계의 비용 절감액 역시 연간 3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게 관세청의 추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