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실험 예비+결과 -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2 00:43
본문
Download : 물리실험 예비+결과 - 오차의 전파,.hwp
설명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test(실험) 1.은 구리 재질 원통형시료의 지름과 높이, 질량을 측정(measurement)하여 밀도를 계산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Download : 물리실험 예비+결과 - 오차의 전파,.hwp( 25 )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아도 사람이 만든 계측기로는 어떤 물체의 물리량을 정확한 수치로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물리실험 예비+결과 - 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물리실험,오차의 전파, 고체의 밀도
이번test(실험) 방법은 매우 간단하였다. 따라서 어떤 측정(measurement)된 물리량으로 새로운 물리량을 계산 할 때는 ‘오차의 전파’가 생기기 마련이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보아도 사람이 만든 계측기로는 어떤 물체의 물리량을 정확한 수치로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마이크로미터와 버니어캘리퍼스의 사용법을 익히고, 직접 측정(測定) 한 물리량들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로부터 간접 측정(測定) 하는 물리량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하는 방법을 익힌다. 하지만 측정(measurement) 기기들이 디지털식이 아닌 아날로그형식이어서 눈금을 읽을 때 눈의 위치에 따라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오차도 생길 것으로 예상되며. 시료를 놓는 위치 등 test(실험) 조건에 의한 오차가 미세하게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test(실험) 1.은 구리 재질 원통형시료의 지름과 높이, 질량을 측정(measurement)하여 밀도를 계산하는 과정이었고, test(실험) 2.는 알루미늄 재질 육면체 시료의 가로, 세로, 높이, 질량을 측정(measurement)하여 밀도를 계산하는 단순한 과정이었다.





목적
순서
다.
test(실험) 2.는 알루미늄 재질 육면체 시료의 가로, 세로, 높이, 질량을 측정(measurement)하여 밀도를 계산하는 과정으로써 test(실험) 1과 다른 점은 높이 측정(measurement) 시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목적 마이크로미터와 버니어캘리퍼스의 사용법을 익히고, 직접 측정한 물리량들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로부터 간접 측정하는 물리량의 평균값과 표준오차를 계산하는 방법을 익힌다. 따라서 어떤 측정(measurement)된 물리량으로 새로운 물리량을 계산 할 때는 ‘오차의 전파’가 생기기 마련이기 때문에 계기의 미세한 오차와 test(실험) 시 위치와 각도에 따라 무시할 수 있는 작은 값이지만 오차가 생길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알루미늄은 구리와는 다르게 물질의 characteristic(특성)상 아주 무른 금속으로써 힘을 가해 외측 측정(measurement) 면을 시료에 밀착시켜 눈금을 측정(measurement)하여야 하는 캘리퍼스에 의해 변형이 생길 수 있음을 방지하기 위해서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