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화학 - 도파민의 생성과 아미노산과 임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3 15:28
본문
Download : 임상화학 - 도파민의 생성과 아미노산.hwp
<신경전달물질;도파민 – Neurotransmitter;Dopamine>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히스타민(histamine)은 모노아민(monoamine;한 개의 아미노기를 가진 아민 화합물)에 속하는 물질들이다. Tyrosine hydroxylase라는 효소가 티로신에 -OH기를 붙여서 L-DOPA라는 물질로 만들고, 이렇게 생성된 L-DOPA에서 DOPA decarboxylase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L-DOPA의 -COOH기가 떨어져 나가고 -H로 치환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화학물질이 도파민(dopamine)이다.
뇌에는 도파민을 쓰는 뉴런들이 이루는 시스템(dopaminergic system)이 몇 개 있다아 그 중 가장 중요한 3가지 시스템으로 꼽히는 흑질-선상계(nigrostriatal system), 중간변연계(mesolimbic system), 중간피질계(mesocortical)로 모두 중뇌(midbrain)의 흑질(substantia nigra)이나 배쪽 피개부(ventral tegmental area)에서 스타트한다.
뇌에서 도파민의 기능과 질병
도파민(dopamine),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 에피네프린(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 히스타민(histamine)은 모노아민(monoamine;한 개의 아미노기를 가진 아민 화합물)에 속하는 물질들이다.
설명
순서
Download : 임상화학 - 도파민의 생성과 아미노산.hwp( 78 )
임상화학 - 도파민의 생성과 아미노산과 임상
임상화학,도파민의 생성,아미노산과 임상
레포트 > 의학계열
먼저, 도파민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이 여러 효소에 의해 변형되어 생성된다. 모노아민에 속하는 화학물질들은 뇌에서 몇 개의 신경 회로를 이룬다. 후에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만들 때에는 도파민에 Dopamine β-hydroxylase 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H를 -OH로 만들어준다. 이런 뉴런들은 뇌간(brain stem)에 세포체를 두고, 뇌의 곳곳으로 축삭을 내보내는 경우가 많다.
중간변연계를 이루는 뉴런들의 세포체는 배쪽피개부(ventral tegmental area)에 위치해 있고 그 축삭들은 해마(hippocampus), 편도체(amygdala), 중격의지핵(nucleus accumbens)같은 변연계(limbic system)의 몇몇 부분으로 뻗어나간다.





도파민의 생성
도파민(dopamine; DA)은 시냅스 후 도파민 수용체의 종류에 따라 흥분성 신호가 될 수도 있고, 억제성 신호가 될 수 도 있다아 도파민은 우리 몸에서 행동, 주의, 학습, 강화 efficacy(reinforcing effect) 등에 influence(영향)을 미친다.
다. 중격의지핵은 특히 특정 자극에 대한 강화efficacy(reinforcing effect)에 관여하는데, 이는 약물 남용같은 일이 일어나게 한다. 이런 물질들은 분자 구조가 비슷해서 어떤 약물은 이 모든 물질의 활동에 effect(영향) 을 줄 수 있다 위의 화학 물질 중 3개(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으로 따로 분류된다 모노아민에 속하는 화학물질들은 뇌에서 몇 개의 신경 회로를 이룬다. 이런 뉴런들은 뇌간(brain stem)에 세포체를 두고, 뇌의 곳곳으로 축삭을 내보내는 경우가 많다.
먼저 흑질 선상계를 이루는 뉴런들의 세포체는 흑질(substantia nigra)에 위치해 있고, 그 축삭들은 미상핵(caudate nucleus)과 조가비핵(putamen)에 이릅니다. 위의 화학 물질 중 3개(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는 카테콜아민(catecholamine)으로 따로 분류된다. 이런 물질들은 분자 구조가 비슷해서 어떤 약물은 이 모든 물질의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들은 기저핵(basal ganglia)에서 중요한 부위로, 행동을 조절하는 데에 관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