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 회피 현상을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2 19:08
본문
Download :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hwp
Ⅰ.서론
그리고 한자어의 경우는 그 구성에서 애초 모음조화의 규칙을 적용 받지 못하고 있따
2. 격음화(激音化)
Ⅴ. conclusion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알타이계 언어의 주요 특징으로 알려진 모음조화는 한 단어의 내부나 어절(語節) 구성 시에 상대적으로 성질이 가까운 모음끼리 서로 연결되려는 일종의 모음동화 현상을 가리킨다.
1. 경음화(硬音化)
Ⅲ.강화
먼저 한 단어의 내부에 나타나는 모음조화의 예를 들어 보자.
Download :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hwp( 22 )
1. 두음법칙(頭音法則)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 회피 현상을 중심으로-
Ⅱ.동화
순서
1. 모음조화(母音調和)
음성(陰性) : 눈(眼)은 눈을 눈에
A+ 받은 자료(資料)입니다.





어(何) 몬져(先) 연니(置上) 벼로(硯)
설명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 회피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 리포트입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음성(陰性) : 들(擧)어 굳(固)은
양성(陽性) : 받(受)아 곧(直)
3. 자음동화(子音同化)
Ⅳ.회피
1. 모음조화(母音調和)
양성(陽性) : (秋) 오(今日) 나라(國)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참고 문헌>
양성(陽性) : 발(足) 발 발애
문법, 중세국어, 음운, 동화, 강화
다음으로 체언을 잇는 조사와 용언의 어간을 잇는 어미에서 예를 들어 보기로 한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A+ 받은 자료입니다.
모음조화는 고대로 올라갈수록 더욱 엄격히 지켜졌던 것으로 추측되지만, 훈민정음이 창제되던 15세기 중엽에 이르러서는 이미 이 규칙에서 벗어난 예들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따 예를 들면
음성(陰性) : 드르(野) 구룸(雲) 처(初)
중세국어의 음운 현상-동화, 강화, 회피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 리포트입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2. 구개음화(口蓋音化)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