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블루오션책략 - 독후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2 18:04
본문
Download : [독후감]-블루오션 전략.hwp
설명
블루오션책략을 읽고나서 느낀점을 기술하였습니다. 하지만, 수많은 marketing 교과서에서 marketing 전술은 STP 혹은 4P라는 단순한 도식의 프레임은 있어도, 결국 진정 고객의 효용 즉 가치와 가격의 함수의 문제에 상대하여는 정밀하게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해주지는 않는다.
내용을 알차게 썼기 때문에 조금만 고쳐서 제출해도 무난할것입니다. [참고자료] 블루오션전략
[독후감] 블루오션책략 - 독후감
Download : [독후감]-블루오션 전략.hwp( 43 )
블루, 오션, 전략, 블루오션전략, 감상문, 독후감,
![[독후감]-블루오션 전략-235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B%8F%85%ED%9B%84%EA%B0%90%5D-%EB%B8%94%EB%A3%A8%EC%98%A4%EC%85%98%20%EC%A0%84%EB%9E%B5-2351_01.gif)
![[독후감]-블루오션 전략-235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B%8F%85%ED%9B%84%EA%B0%90%5D-%EB%B8%94%EB%A3%A8%EC%98%A4%EC%85%98%20%EC%A0%84%EB%9E%B5-2351_02_.gif)
![[독후감]-블루오션 전략-235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B%8F%85%ED%9B%84%EA%B0%90%5D-%EB%B8%94%EB%A3%A8%EC%98%A4%EC%85%98%20%EC%A0%84%EB%9E%B5-2351_03_.gif)
![[독후감]-블루오션 전략-235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B%8F%85%ED%9B%84%EA%B0%90%5D-%EB%B8%94%EB%A3%A8%EC%98%A4%EC%85%98%20%EC%A0%84%EB%9E%B5-2351_04_.gif)
![[독후감]-블루오션 전략-235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5/%5B%EB%8F%85%ED%9B%84%EA%B0%90%5D-%EB%B8%94%EB%A3%A8%EC%98%A4%EC%85%98%20%EC%A0%84%EB%9E%B5-2351_05_.gif)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다. [참고자료(資料)] 블루오션책략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시장을 만들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간주하고 기술개발에 매달릴 때 전혀 의외의 방법으로 돈을 벌고, 세계적인 성장한 회사들이 있다 그 歷史(역사)는 초창기 자본주의부터 반복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스타벅스커피, 월마트, 초창기의 포드, 초창기의 코닥, 마이크로소프트, 델 등은 기술에 의존한 성공이 아니라 다른 무엇으로 성공한 회사이다. 이 책의 저자 김위찬교수와 르네 마보안교수는 그런 점은 가치혁신이라는 말로 소개하고 있다 어쩌면 그렇게 새로운 이야기가 아닐 수도 있다 피터드러커, 필립코틀러도 marketing 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이 무엇을 원하느냐의 가치의 문제이지, 다른 문제는 아니라는 말을 했다.
순서
한마디로 이 책은 어떻게 경쟁을 피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느냐라는 marketing 의 지상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 방법론이다.
블루오션전략을 읽고 느낀점을 기술하였습니다. 그리고 그의 가치사슬 analysis, 전술그룹에 관한 설명(說明)은 결국 전술이 지향하는 바를 원가우위 혹은 제품差別(차별) 화라는 두 가지의 선택의 문제로 몰고 가서 현존하는 시장에서 취할 수 있는 전술을 창의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이 어렵게만 느껴진다. 내용을 알차게 썼기 때문에 조금만 고쳐서 제출해도 무난할것입니다. 하지만 이 책은 고객이 느끼는 가치를 analysis하는 방법과 가치를 재구성함으로서 어떻게 가치혁신을 단행해서 시장을 창출하느냐? 의 문제에 대한 아주 구체적인 프레임웍을 제시해주고 있다 상당히 진일보한 marketing 의 관점이라고 생각된다. 경영전술의 대가인 마이클 포터의 5가지 힘analysis의 경우 현존하는 시장에서 왜 어떤 산업은 수익성이 있고, 어떤 산업은 수익성이 없는가의 analysis을 가능하게 하지만, 그렇다면 지금 현재 이 자리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가에 대한 실천프로그램(program]) 을 도출할 수 있는 창의적인 접근 방법은 가르쳐주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