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패권이전(13세기 세계체제) 재닛 아부-루고드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3 06:51
본문
Download : 유럽패권이전(13세기 세계체제) 재닛.hwp
이 책은 서양 학문에 의해서 유포된 통념에 대한 도전이자 독자적인 통찰의 모험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history(역사) 의 결정적인 순간을 검토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고 시간적으로는 기원후 1250년에서 1350년 사이의 한 세기를 다루는데, 이 시기는 세계사에서 하나의 지지점 혹은 중대한 전환점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공간적으로 동지중해를 인도양과 연결시켜주는 중동의 심장부는 동양과 서양이 대략 그 위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던 일종의 지리적 지지점이었다고 說明(설명) 한다. 이 책은 당대를 지배했던 사람들에게 이처럼 광범위한 번영을 촉진시켜 준 13세기의 세계경제를 탐구하고 그것이 어떻게 성취되었지 또한 14세기 중엽에 왜 비틀거리게 되었는지, 그리고 16세기가 형성될 때 앞선 체제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은 과연 어느 정도였는가를 고찰한다. 또한 경제적 통합의 증대와 文化(culture) 적 결실은 서로 상호관계에 있고 13세기 세계경제는 그 어떤 단일한 패권세력이 없었다는 점(패권국이 주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로부터 성장한 근대 세계체제와 중요한 대조를 이룬다고 강조한다.
유럽패권이전,13세기 세계체제, 재닛 아부,루고드 줄거리,감상문
설명
다. 이 책은 당대를 지배했던 사람들에게 이처럼 광범위한 번영을 촉진시켜 준 13세기의 세계경제를 탐구하고 그것이 어떻게 성취되었지 또한 14세기 중엽에 왜 비틀거리게 되었는지, 그리고 16세기가 형성될 때 앞선 체제로부터 물려받은 유산은 과연 어느 정도였는가를 고찰한다.
저자는 윌러스턴이 복수의 통상적인 세계-경제들 및 제국들과 근대 세계체제를 구별했고 16세기 이전 세계 제국들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여전히 근대 세계체제를 마치 최초인 것이었던 양 취급한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16세기, 윌러스틴이 명명했던 유럽 주도의 근대 세계-체제가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닐 것이라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이 책은 서양 학문에 의해서 유포된 통념에 대한 도전이자 독자적인 통찰의 모험이다.
%20%EC%9E%AC%EB%8B%9B-1331_01.jpg)
%20%EC%9E%AC%EB%8B%9B-1331_02_.jpg)
%20%EC%9E%AC%EB%8B%9B-1331_03_.jpg)
%20%EC%9E%AC%EB%8B%9B-1331_04_.jpg)
%20%EC%9E%AC%EB%8B%9B-1331_05_.jpg)
순서
우리는 13세기 후반에 왜 주목해야 하는가 ? 저자는 각 국이 직접적인 접촉이 잦아지고, 文化(culture) 적, 예술적 성과가 절정에 달하였으며 이로써 지배자에게 광범위한 번영을 촉진시켜주었다고 주장한다. 이에 반해 저자는 세계체제를 전체로서 검토하고, 동시에 당시의 유럽을 있는 그대로, 즉 이미 지속되고 있던 과정에 뒤늦게 합류하여 급성장한 하나의 주변세력으로 다루고자 시도한다. 또한 저자는 대규모 체제의 결절점으로 제국을 분석의 단위로 설정하지 않고 도시들에 초점을 맞춘다.
유럽패권이전(13세기 세계체제) 재닛 아부-루고드 줄거리 요약, 내용 요약, 감상문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Download : 유럽패권이전(13세기 세계체제) 재닛.hwp( 66 )
저자는 또한 세계가 어떻게,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생산과 교환의 공동 상업망에 연결되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1300년경의 세계 교역체계를 검토한다. 저자는 16세기, 윌러스틴이 명명했던 유럽 주도의 근대 세계-체제가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닐 것이라는 의문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