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28 22:40
본문
Download :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hwp
그러나, 외국에서도 아직 주제중심 통합교육의 교수모델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한 듯 보이며, 우리나라에도 초등 통합교육 약 16년의 역싸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통합교육의 교수모델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주제 교수모델 통합교육 / ()
IV. 논의
다. 교수모델은 학교 현장교사들에게 교수의 실제를 안내해 주는 point적인 정보이다. 미국 초등학교에서는 근래에 주제교수(thematic teaching), 주제학습(thematic learning), 또는 주제단원접근(thematic unit approach)이라는 이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Wortham, 1996; Wolfinger & Stockard Jr., 1997; Jarolimek & Foster, 1993; Passe, 1995). 우리나라에서도 주제중심 통합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학술논문(조연순, 김경자, 1996)과 프로그램도(운현초등학교 편, 1998) 紹介(소개)되기 처음 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 교수모델은 왜 통합교육이 필요하며, 어떻게 하여야 하며, 타 교육과정과 어떤 점이 차이가 나며 또 왜 그런 차이가 있어야 하는지 등 통합교육의 이론(理論)적 정체성을 구명하고 관련된 이슈와 문제들을 학문적으로 탐구하는데 기여하는 기초적 정보가 되기도 한다. II. 주제중심 교수모델의 이론(理論)적 탐색
설명





순서
주제 교수모델 통합교육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관한 연구
V. 결론
주제 교수모델 통합교육 / ()
I. 서론
Download : 주제중심 교수모델 정립에 .hwp( 38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III. 주제중심 교수모델의 경험적 탐색
주제중심 통합교육은 아동이 흥미를 보이는 내용과 실생활의 문제나 이슈를 주제로 선정하여 경험을 통합하고 학생 주도적인 학습활동을 실시하는 교육의 한 양식이다. 따라서, 학교 현장의 통합교육이 아직 전통적인 분과적 통합교과 중심의 수업체제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은 통합교육 교수모델의 부재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