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史(역사) 속 인물 탐구(사학자 신석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2 07:53
본문
Download : 역사 속 인물 탐구(사학자 신석호).hwp
신석호는 대학을 졸업하고 바로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서 《조선사》 간행에 적극 기여하였던 것이다. 한국사의 전개 과정이 한민족의 자주적인 역량에 의해 자율적으로 이루어졌다기 보다는 외세의 간섭과 압력에 의해 타율적으로 이루어졌다고 說明(설명) 하는 타율성론과, 왕조의 교체 등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구조에 아무런 발전도 가져오지 못했다고 說明(설명) 하는 정체성론이 식민사관의 核心(핵심)이다. 그렇다면 《조선사(총35권, 1938년 완성)》의 성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조선사》 편찬의 실무책임자인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는 {동아일보} 1925년 6우러 13일자 신문에서 `한국은 동양 화란(禍亂)의 원천이 되어 있던 고로 동양의 평화, 인민의 복지 증진을 위하여 병합된 것이니 이 병합의 목적을 진실하게 편찬할 생각`이라고 편찬 의도…(skip)
순서
역사속인물탐구(사학자신석호) , 역사 속 인물 탐구(사학자 신석호)경영경제레포트 ,
歷史(역사)속인물탐구(사학자신석호)
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레포트/경영경제
歷史(역사) 속 인물 탐구(사학자 신석호)
,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역사 속 인물 탐구(사학자 신석호).hwp( 66 )
설명
(2) 식민사관의 주역으로서의 신석호
日本(일본)은 한국의 식민지화를 역사(歷史)적인 견지에서 정당화하려 했으니, 이러한 필요에서 나온 관점이 식민사관이다. 이렇게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核心(핵심)으로 하는 식민사관을 제도적을 창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구가 조선사편수회이며, 그 대표적 성과물이 《조선사》라는 저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