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휴직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5 23:02
본문
Download : 휴직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hwp
근로자가 형사사건으로 구속되었다가 불구속 기소된 이상 사용자의 인사규정에서 정한 명령휴직의 사유 그 자체는 발생하였다고 할 것이고 근로자가 석방되기 전까지는 상당한 기간에 걸쳐 근로의 제공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위 근로자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휴직처분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으나, 구속취소로 석방된 후에는 근로자가 상당한 기간에 걸쳐 근로의 제공을 할 수 없는 경우에 해당…(To be continued )
휴직과 관련된 판례를 analysis하였습니다.휴직과관련된판례의태도연구 , 휴직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법학행정레포트 ,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휴직과관련된판례의태도연구
휴직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
Download : 휴직과 관련된 판례의 태도 연구.hwp( 64 )
2. 주요 판례
1) 근로기준법 제30조 제1항에서 사용자는 근로자에 대하여 정당한 이유 없이 휴직하지 못한다고 제한하고 있는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사용자의 취업규칙이나 단체협약 등의 휴직근거규정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일정한 휴직사유의 발생에 따른 휴직명령권을 부여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정해진 사유가 있는 경우 당해 휴직규定義(정이) 설정 목적과 그 실제 기능, 휴직명령권 발동의 합리성 여부 및 그로 인하여 근로자가 받게 될 신분상·경제상의 불이익 등 구체적인 사정을 모두 참작하여 근로자가 상당한 기간에 걸쳐 근로의 제공을 할 수 없다거나, 근로제공을 함이 매우 부적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만 정당한 이유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
,법학행정,레포트
설명
휴직과 관련된 판례를 분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