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BILIRUBINEMIA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16 11:47
본문
Download : HYPERBILIRUBINEMIA.hwp
1. Def)
순서
설명




1. Def) 혈액중에 빌리루빈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로 황달을 일으킴. 신생아에서 황달은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로 구분 짓는데 다음... , HYPERBILIRUBINEMIA자연과학레포트 ,
1. Def)
혈액중에 빌리루빈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로 황달을 일으킴.신생아에서 황달은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로 구분 짓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는 병적 황달로 규정짓는다.
* 병적 황달
① 황달이 생후 24 시간이내에 나타난 경우
② 혈청 빌리루빈치가 24 시간에 5mg/이 이상 상승하는 경우
③ 혈청 빌리루빈이 만삭아에서 12 mg/이이상이거나 미숙아에서 14mg/이 이상인 경우
④ 황달이 생후 2 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⑤ 직접 빌리루빈이 1mg/이 이상인 경우
2. Incidence)
신생아 황달은 생후 첫 주내에 만삭아의 약 60%, 미숙아의 약 80%에서 관찰됨.3. Epidemiology)
* 생후 24 시간 내에 나타날 수 있는 황달흔한 原因 : erythroblastosis: ABO 부적합, Rh 부적합, 패혈증(?)
드문 原因 : 감염, cytomegalic inclusion disease, toxoplasmosis, rubella, 간염(?)
* 생후 2~3 일에 나타나는 황달
흔한 原因 : ‘생리적’ 황달
드문 原因 : familial nonhemolytic icterus
* 3 일 이후 1주 내에 나타나…(투비컨티뉴드 )
4. Pathophysiology)
① 간에서 대사될 빌리루빈의 양을 증가시키는 요인
②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요인
③ transferase 효소의 결핍이나 간세포로의 빌리루빈 uptake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
5. 증상)
Download : HYPERBILIRUBINEMIA.hwp( 34 )
레포트/자연과학
,자연과학,레포트
HYPERBILIRUBINEMIA
신생아에서 황달은 생리적 황달과 병적 황달로 구분 짓는데 다음...
혈액중에 빌리루빈이 과잉으로 존재하는 상태로 황달을 일으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