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중앙관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03 17:30
본문
Download : 고려의 중앙관제.hwp
고려의중앙관제와지방 , 고려의 중앙관제법학행정레포트 ,
고려의중앙관제와지방
설명
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宰府)과 중추원은 각각 2품과 3품을 획선으로 하여 상하 이중적 조직으로 그 직무도 달랐다. 이러한 관제는 6대 성종 때에 정비되기 처음 하여 문종에 이르러 일단 완성되었다. 체제의 특징을 보면 2성 6부는 당제(唐制)에 가깝고, 중추원(中樞院)과 삼사(三司)는 송제(宋制)를 채용한 것이며, 도병마사(都兵馬使)와 식목도감(式目都監)은 고려 자체의 필요성(必要性)에서 생긴 것이다.
고려의 중앙관제에 대한 자료(資料)입니다. 여기에는 상서(尙書:정3품)가 책임자였지만, 그 위에 판사제(判事制)를 따로 두어 중서문하성의 성재(省宰)로 겸직시킨 점은 고려의 정치체제가 귀족중심이었다는 …(省略)
고려의 중앙관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중서문하성의 2품 이상의 고관은 재신(宰臣:省宰·宰相)이라고 하여 정책을 수립·결정하고, 3품 이하의 관원은 성랑(省郞:郞舍·諫官)이라고 하여 봉박(封駁)과 서경(署經) 등의 임무를 맡고 있었으며, 정책의 실무를 담당한 것은 상서육부(尙書六部)였다. 관직상의 품계는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인 양반제도를 두고, 관등급은 정(正)·종(從) 각 9품의 도합 18품으로 나누었다.
고려의 중앙관제
Download : 고려의 중앙관제.hwp( 32 )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고려의 관제는 후삼국 통일 후 태봉과 신라의 관제를 병용하였는데, 당(唐)·송(宋)나라와 고려의 독자적인 제도도 섞여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