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特性)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10-21 16:42
본문
Download :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 실험.hwp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 실험 ,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 실험전기전자실험과제 ,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 실험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特性) 실험
기초전기전자test(실험)
다이오드 property(특성) test(실험) 보고서
1. 관련理論
반도체 다이오드는 한쪽 방향으로는 전류를 잘 통과시키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거의 전류를 통과시키지 않는다. 이때 다이오드를 통해 극히 약한 전류 즉, 역포화 전류 ( reverse saturation…(생략(省略))① 전압을 가하지 않을 때 : pn 접합면에 정공이나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는 전기장이 생김.
② 순방향 전압을 가했을 때 (n형에 -, p형에 +의 전압을 가했을 때)
③ 역방향 전압을 가했을 때 (n형에 +, p형에 - 전압을 가했을 때)
④ 정류 작용 : 한방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함.
Download :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 실험.hwp( 75 )
설명
실험과제/전기전자
[기초전기전자],다이오드,특성,실험,전기전자,실험과제
순서
![[기초전기전자]%20다이오드%20특성%20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C%B4%88%EC%A0%84%EA%B8%B0%EC%A0%84%EC%9E%90%5D%20%EB%8B%A4%EC%9D%B4%EC%98%A4%EB%93%9C%20%ED%8A%B9%EC%84%B1%20%EC%8B%A4%ED%97%98_hwp_01.gif)
![[기초전기전자]%20다이오드%20특성%20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C%B4%88%EC%A0%84%EA%B8%B0%EC%A0%84%EC%9E%90%5D%20%EB%8B%A4%EC%9D%B4%EC%98%A4%EB%93%9C%20%ED%8A%B9%EC%84%B1%20%EC%8B%A4%ED%97%98_hwp_02.gif)
![[기초전기전자]%20다이오드%20특성%20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C%B4%88%EC%A0%84%EA%B8%B0%EC%A0%84%EC%9E%90%5D%20%EB%8B%A4%EC%9D%B4%EC%98%A4%EB%93%9C%20%ED%8A%B9%EC%84%B1%20%EC%8B%A4%ED%97%98_hwp_03.gif)
![[기초전기전자]%20다이오드%20특성%20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8%B0%EC%B4%88%EC%A0%84%EA%B8%B0%EC%A0%84%EC%9E%90%5D%20%EB%8B%A4%EC%9D%B4%EC%98%A4%EB%93%9C%20%ED%8A%B9%EC%84%B1%20%EC%8B%A4%ED%97%98_hwp_04.gif)
[기초전기전자] 다이오드 특성(特性) 실험
다. 이것은 순방향 저항은 낮은 반면에 역방향 저항은 매우 높기 때문일것이다 모든 반도체 다이오드는 대체적으로 단방향적 property(특성)을 가지고 있따
순방향 전류
오른쪽 그림 11-1-(a)와 같이 전원을 pn접합 다이오드의 p형 쪽에 +극을 n형 극 쪽에 대하여 -극을 연결할 때 순방향전압 ( forward voltage ) 또는 순방향 바이어스 ( bias )가 걸려있다고 말한다. 이는 p영역의 hole의 n영역으로, n영역의 전자기 p영역으로 활발히 흐름으로 인해 p영역에서 n영역으로 큰 전류 I가 흐르게 된다
역방향 전류
오른쪽 그림 11-1-(b)와 같이 pn접합 다이오드에 외부전압이 n형쪽에 +, p형쪽에 -가 되도록 가해질 때 역방향 전압 ( reverse voltage ) 또는 역방향 바이어스 ( bias )가 걸렸다고 말한다. 이 때 다이오드를 통하여 큰 전류 즉, 순방향 전류 ( forward current )가 흐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