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체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7 07:08
본문
Download : 삼일체질.hwp
그러나 수지침요법에서는 지금까지의 동양의학과 가장 큰 차이점으로,인체를 세로로 나누어 좌측과 우측을 분리하고, 장부의 허실 상태에 따라 좌측의 병적 체질과 우측의 병적 체질을 따로 분리하여 처방을 하고 있다아 그 원리를 이용한 것이 삼일체질 진단과 처방법이다. 즉 삼일체질 진단법은 인체의 좌, 우측에 나타나는 병적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진단법인데 그 기준은 배꼽에서부터 처음 한다. 배꼽 주위를 만져보…(省略)
삼일체질,의약보건,레포트






1. 삼일체질의 定義(정이), 2. 삼일체질을 구별하는 목적, 3. 삼일체질의 특성, 4. 삼일체질의 종류, , 파일크기 : 123K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1. 삼일체질의 정의, 2. 삼일체질을 구별하는 목적, 3. 삼일체질의 특성, 4. 삼일체질의 종류, , FileSize : 123K , 삼일체질의약보건레포트 , 삼일체질
삼일체질
Download : 삼일체질.hwp( 53 )
다.
순서
우리 몸에 있는 장부에 질병이 발생될 경우(실한 경우-장부에 사기가 침범하여 기능이 항진 된 것)에는 해당장부의 신경계가 흥분하여 그 반사 통증이 체표면상 에 나타나는데 그 反應(반응)을 이용하여 질병을 파악하는 진답법이 있다아 그러나 체벽반사에 의한 압통점은 연관되어 있는 실증 장부마다 나타나기 때문에 압통 과민점을 찾아 주병을 파악하기에는 매우 곤란하다. 배꼽은 우리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 어머니로부터 직접 영양분을 공급받는 자리로서 나무로 치면 뿌리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는데 뿌리가 튼튼하면 나무가 실하고 튼튼하게 자라 게 되듯이, 인체도 배꼽이 건실하고 충실하면 튼튼하고 건강한 몸을 유지 할 수가 있는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