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book report] 마이클 샌들의 定義(정의)란무엇인가 를 읽은후난 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3 18:13
본문
Download : [독후감]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무엇인.hwp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책은 제일 처음 군인 훈장을 받기 위한 상처조건, 구제금융, 철로를 이탈한 전차의 사례 등의 딜레마를 제시하여 일단 definition 를 이해하기 위한 세 가지 방식인 행복 극대화, 자유와 연관지기, 마지막으로 미덕, 즉 도덕적인 가치와 연관 짓기로 분류하고 그 방식이 각각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고 그 장,단점을 간략하게 알려준다. 1980년대부터 하버드대에서 30년간 정치를 가르치고 있는 마이클 샌들 교수의 ‘Justice(定義(정의))’ 강의는 현재까지 20여 년 동안 하버드대 학생들 사이에서 최고의 명 강의로 손꼽히고 있따
순서
독후감,마이클 샌들,정의란무엇인가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이 책은 1강 옳은 일하기, 2강 최대 행복 원칙, 3강 우리는 우리 자신을 소유하는가?, 4강 대리인 고용하기, 5강 중요한 것은 동기다, 6강 평등 옹호, 7강 소수집단우대정책논쟁, 8강 누가 어떤 자격을 가졌는가?, 9강 우리는 서로에게 어떤 의무를 지는가?, 10강 definition 와 공동선 이라는 총 10강의 소 タイトル(제목) 을 가지고 definition 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1980년대부터 하버드대에서 30년간 정치를 가르치고 있는 마이클 샌들 교수의 ‘Justice(정의)’ 강의는 현재까지 20여 년 동안 하버드대 학생들 사이에서 최고의 명 강의로 손꼽히고 있다.
설명
‘定義(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인 마이클 샌들교수는 定義(정의)론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자, 공동체주의 theory(이론)의 대표적 4대 theory(이론)가로 꼽힌다.
다.
[book report] 마이클 샌들의 定義(정의)란무엇인가 를 읽은후난 뒤
![[독후감]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무엇인-360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B%A7%88%EC%9D%B4%ED%81%B4%20%EC%83%8C%EB%93%A4%EC%9D%98%20%EC%A0%95%EC%9D%98%EB%9E%80%EB%AC%B4%EC%97%87%EC%9D%B8-3602_01.jpg)
![[독후감]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무엇인-360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B%A7%88%EC%9D%B4%ED%81%B4%20%EC%83%8C%EB%93%A4%EC%9D%98%20%EC%A0%95%EC%9D%98%EB%9E%80%EB%AC%B4%EC%97%87%EC%9D%B8-3602_02_.jpg)
![[독후감]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무엇인-3602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B%A7%88%EC%9D%B4%ED%81%B4%20%EC%83%8C%EB%93%A4%EC%9D%98%20%EC%A0%95%EC%9D%98%EB%9E%80%EB%AC%B4%EC%97%87%EC%9D%B8-3602_03_.jpg)


Download : [독후감] 마이클 샌들의 정의란무엇인.hwp( 13 )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인 마이클 샌들교수는 정의론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자, 공동체주의 이론의 대표적 4대 이론가로 꼽힌다. 그리고 개인의 권리를 무시하지 않는 다른 주장을 설명하기 위해 밀이라는 사람의 견해도 제시한다. 그리고 그 다음 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행복극대화, 전문용어로 공리주의부터 다루기 처음 한다. 이 장에서는 벤담이라는 학자의 매우 강경한 공리주의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견해를 고대 로마 콜로세움에서 시행되어 사람을 사자의 우리에 던져넣는 행위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사례, 그리고 고문을 정당화할 수 있는가, 또는 한 아이를 불행하게 만듦으로써 모두가 극상의 행복을 누리면서 사는 한 마을의 사례를 제시하면서 세상의 모든 가치를 매길 수 없는 것들에도 가치를 부여하여 일관화된 잣대로 재고려하여 인간의 존엄성 등과 같은 마땅히 존중받아야할 가치와 개인의 권리를 무시하는 공리주의의 단점을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