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 논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6 08:58
본문
Download : 격물치지.hwp
주자학의 명제는 본성이 곧 이치 라는 의미의 성즉리가 되며, 양명학의 기본명제는 마음이 곧 이치 라는 심즉리 이다. 이 명제를 조금만 풀어서 설명(explanation)하면 주자학에서는 ‘모든 사물이 각각의 고유한 이치를 가지고 있다’, 양명학에서는 ‘고유한 이치라는 것은 없으며 오로지 내 마음속에 있을 뿐이다’ 고 한다.
(2) 주자와 양명의 격물치지
① 주자의 격물치지 : 실제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여 후천적인 지식을 완전하게 함.
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 논쟁
설명
다. 이 명제를 조금만 풀어서 설명하면 주자학에서는 ‘모든 사물이 각각의 고유한 이치를 가지고 있다’, 양명학에서는 ‘고유한 이치라는 것은 없으며 오로지 내 마음속에 있을 뿐이다’ 고 한다.
- 사람이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바로 격물하여 치지해야 한다는 것, 즉 배우고 깊이 생각하고 또 익혀서 궁극적 진리에 도달하는 것이다. 주자 주희는 [대학]에 나오는 ‘자신의 뜻을 성실하게 하려고 하는 사람은 먼저 앎에 이르러야 할 것이니 앎에 이르는 것은 사물의 이치를 연구하는 데에 있다’라는 대목을 격물치지로 요약했다.
격물치지,성리학양명학,격물치지논쟁,성리학,양명학,격물
Download : 격물치지.hwp( 49 )
요약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
순서
(1) 격물치지의 의미 : [ 格:이를 격. 物:만물 물. 致:이를 치. 知:알 지 ]





주자학의 명제는 본성이 곧 이치 라는 의미의 성즉리가 되며, 양명학의 기본명제는 마음이 곧 이치 라는 심즉리 이다. 이것은 모든 사물에는 이미 그 이치가 담겨 있다는 성즉리를 기본으로 하는 해석이다.
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 논쟁에 대한 것을 서론 / 본론 / conclusion 으로 나누어서
줄여서 격치라고도 하는데, 공자의 팔조목에 나오는 말이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성리학과 양명학의 격물치지 논쟁에 대한 것을 서론 / 본론 / 결론으로 나누어서 요약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