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st] [] 우리말의 예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0 21:22
본문
Download :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hwp
전통적으로 타인에게는 ‘선비(先妣)’를 썼고, 지방이나 축문에는 ‘어머님’이나 ‘현비(顯妣)’를 쓴다.
설명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286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A%B5%AD%EB%AC%B8%ED%95%99%5D%20%EC%9A%B0%EB%A6%AC%EB%A7%90%EC%9D%98%20%EC%98%88%EC%A0%88-2861_01.gif)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286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A%B5%AD%EB%AC%B8%ED%95%99%5D%20%EC%9A%B0%EB%A6%AC%EB%A7%90%EC%9D%98%20%EC%98%88%EC%A0%88-2861_02_.gif)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286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A%B5%AD%EB%AC%B8%ED%95%99%5D%20%EC%9A%B0%EB%A6%AC%EB%A7%90%EC%9D%98%20%EC%98%88%EC%A0%88-2861_03_.gif)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2861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A%B5%AD%EB%AC%B8%ED%95%99%5D%20%EC%9A%B0%EB%A6%AC%EB%A7%90%EC%9D%98%20%EC%98%88%EC%A0%88-2861_04_.gif)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2861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A%B5%AD%EB%AC%B8%ED%95%99%5D%20%EC%9A%B0%EB%A6%AC%EB%A7%90%EC%9D%98%20%EC%98%88%EC%A0%88-2861_05_.gif)
(1) 부모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말의 예절
우리말의 예절
[] 우리말의 예절
다.
우리말의 예절
Download : [국문학] 우리말의 예절.hwp( 74 )
순서
1. 호칭어와 지칭어
아버지를 부르는 말은 ‘아버지’이다. 편지를 쓸 때에는 ‘아버님’이 전통적인 말인데, ‘아버지’와
언어 예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 호칭어와 지칭어로, 말할이가 관련된 사람을 적절하게 부르거나 가리켜야만 하는데,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말이 호칭어이고 사람을 가리켜 하는 말이 지칭어이다. 편지를 쓸때에는 ‘어머님’이라고 쓰는 것이 전통적인 말이며, ‘어머니’와 같이 써도 된다된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아버지와 조부모에게 지칭할 때는 살아 계실 때와 같이 ‘어머니’로 지칭하고, 그 밖에는 ‘어머님’이나 ‘어머니’를 쓴다.
나의 어머니를 부르는 말은 ‘어머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