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론 - 중화학 공업화에 관해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4-27 21:12
본문
Download : 동아시아론 - 중화학 공업화에 관해서.hwp
그런데 1970년대로 들어오면서 특히 한국의 발전전략(戰略) 에는 중대한 전환 즉, 수출 지향적 중화학공업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성장은 전통적인 수입대체로부터의 정책변화에 힘입은 것이었는데, 새로운 정책의 point적인 내용은 기본적으로는 기존의 수입대체 정책의 기반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수출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는 것이었다.
Download : 동아시아론 - 중화학 공업화에 관해서.hwp( 55 )
Ⅰ. 중화학 공업화의 의의
Ⅰ. 중화학 공업화의 의의 Ⅱ. 중화학 공업화의 전개 1. 개시 2. 정책 Ⅲ. 중화학 공업화와 자본축척 Ⅳ. 나의생각
Ⅱ. 중화학 공업화의 전개





설명
다.
동아시아론,중화학 공업화
2. 정책
순서
Ⅲ. 중화학 공업화와 자본축척
동아시아론 - 중화학 공업화에 관해서
Ⅳ. 나의생각
한국은 1970년대 중반을 계기로 수출의 비약적인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두 나라 모두에서 1975년을 계기로 수출의 신장세가 하나의 변곡점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은 단순한 우연의 일치로 볼 수 없으며, 이것은 결국 한국의 경제성장과정에서 중화학공업화가 단순히 기존의 수출주도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수출상품의 구성만을 변화시킨 것이 아니라 생산력과 공급능력의 획기적인 비약을 가져온 계기가 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그러나 1971년에 처음으로 20억 달러를, 1973년에는 30억 달러를 돌파한 이후 수출은 1975년 50억 8,100만 달러, 1976년 77억 1,500만 달러, 1977년 100억 4,600만 달러라는 급성장을 거듭하였다. 한국은 세계의 공업생산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모두에서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성장률을 앞지르고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국가들이 수출주도성장을 추진 중이던 1960년대 말에서 석유위기에 이르는 기간 동안에는 브라질과 멕시코 등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 또한 수출과 소득에서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던 중이었다. 한국의 수출액은 1960년대를 통틀어 10억 달러 내외의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1970년대 동아시아와 남미 국가들의 경제적 지위를 역전시킨 가장 주요한 계기는 중화학공업화를 전후하여 나타난다.
1. 개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신흥공업국들이 1960년을 전후한 비슷한 시기에 수출주도성장이라는 발전전략(戰略) 을 채택함으로써 지난 30여 년 동안 세계 경제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두었다는 사실은 굳이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동아시아의 경제적 성공은 흔히 수입대체라는 또 다른 발전전략(戰略) 을 선택했던 남미 국가들의 실패와 비교되고는 한다. 수출주도 성장정책으로 전환한 이후 한국의 경제적 성취가 본격화되는 것은 사실상 중화학공업화가 진행된 1970년대부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