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교육] 한국의 지형(지각 운동과 산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06 19:26
본문
Download : 한국지리-산지.hwp
게다가 높은 산은 거의 북쪽과 동쪽에 치우쳐 분포한다. 그러나 동해안을 중심으로 한 신생대 제3기의 비대칭적 융기 즉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인해 동해안 쪽은 급경사, 서해안 쪽은 완경사를 이루게 되었다. 중부지방에서의 경동운동은 동해안의 대폭적인 융기에 서해안의 침강이 결부된 상태 하에서 진행되었다.
지질구조선과 지형(우리나라의 산맥), 산맥과 산지, 산맥도와 산경도, 새산맥지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국토는 많은 부분이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어 오랫동안 침식을 받아 평탄한 지형이었다. 중국방향 산계와 라오뚱방향 산계는 각각 대보조산운동과 송림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는데, 이들은 오랜 시간 동안 침식되면서 낮고 완만한 산지를
새 산맥지도
※ Reference List
Download : 한국지리-산지.hwp( 68 )
지질구조선과 지형(우리나라의 산맥), 산맥과 산지, 산맥도와 산경도, 새산맥지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지질구조선과 지형(우리나라의 주요산맥)
산맥도와 산경도
설명
한국지리 , 지질구조선 , 산맥 , 산지 , 산맥도
산맥과 산지
지질구조선과 지형(우리나라의 주요산맥)
우리나라의 산맥은 지질구조와 산맥방향에 따라 중국방향 산계, 라오뚱방향 산계, 한국 방향 산계 등으로 나뉜다.





순서
이렇게 경동성 요곡운동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을 중심으로 하는 두 개의 경동지형이 생기게 되었으며, 높은 산들은 태백산맥과 함경산맥을 따라 분포하게 되었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지형은 오랜 시간에 걸친 지각운동에 의해 형성되었다. 동해안의 해안선은 비교적 단순하고 서해안의 해안선은 매우 복잡한 것도 경동성 요곡운동 때문인데, 동해안은 태백산맥 및 함경산맥과 더불어 융기했기 때문에 단순한 것이고, 서해안은 침강했기 때문에 복잡한 것이다. 또한 한강, 청천강, 대동강과 같은 큰 하천들이 서쪽으로 흐르는 것도 우리나라의 경동지형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사회교육] 한국의 지형(지각 운동과 산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나라의 국토는 약 70%가 산지로 덮여 있으나, 높은 산은 적은 편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