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의 歷史(역사)와 文化(cultur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03 07:24
본문
Download : 세종대의 역사와 문화.hwp
그리하여 그 해 8월에는 정안군(靖安君)에 봉해졌으나 정도전 등의 배척으로 개국공신(開國功臣)에 끼지도 못하고 세자 자리도 이복 막내 동생인 방석(芳碩)에게 빼아기고 말았다. 자는 유덕(遺德)이며, 묘호(廟號)는 태종이다.
아버지 이방원(1367-1422)는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와 그의 향처(鄕妻)인 신의왕후(神懿王后) 한(韓)씨의 다섯 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本貫)은 전주이다.
1[1][1][1].세종대의歷史(역사)와文化(culture)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1[1][1][1].세종대의역사와문화 , 세종대의 역사와 문화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세종대의 역사와 문화.hwp( 68 )






설명
2. 세종은 어떤 사람인가
세종의 휘(諱)는 도(祹)요, 자(字)는 원정(元正)으로 1497년(태조 6) 4월 10일(양력 5월 15일)에 한성부 북부 준수방(俊秀坊)에서 이방원(李芳遠)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정종은 제2차 왕자의 난 때…(drop)
세종대의 歷史(역사)와 文化(culture)
다. 그러나 1398년(태조 7)에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둘째 형인 방과(芳果)를 2대 왕으로 추대하였다가 1401년(정종 2)에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넷째 형 방간(芳幹)을 귀양보내고 정종(恭靖王)의 선위(禪位)를 받아 3대 왕이 되었다. 함흥에서 태어나 1383년(우왕 9)에 문과(製述業)에 급제하여 1392년(고려 공양왕 4) 3월에 정적인 정몽주를 제거하고, 그 해 7월에 이성계를 국왕으로 추대하는 등 역성혁명(易姓革命)에 혁혁한 공로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