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7-25 10:14
본문
Download :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hwp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민사집행법상,전부명령,법학행정,레포트
설명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법학행정레포트 ,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Download :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hwp( 67 )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레포트/법학행정
순서
민사집행법상 전부명령
1. 의의(意義)
채무자(債務者)가 제(第)3채무자(債務者)에 대하여 가지는 압류(押留)한 금전채권(金錢債權)을 집행(執行)채권(債權)과 집행(執行)비용(費用)청구권(請求權)의 변제(辨濟)에 갈음하여 압류채권자(押留債權者)에게 이전시키는 이부명령(移付命令)을 전부명령이라 한다. 전부명령이 있으면 그 채권이 존재하는 한, 압류채권자는 곧 변제받은 것이 되며 채무자에 대한 채권은 소멸(消滅)하여진다. 이 때문에 제3채무자의 자력이 확실한 채권에서는 전부명령(轉付命令)은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그 이용률도 높다. 그 반면 즉시 집행절차가 종료(終了)하기 때문에 다른 채권자의 배당요건의 기회가 사실상 없어 우선적(優先的) 변제(辨濟)의 effect를 갖는다.(564) 압류(押留)채권(債權)이 채무자로부터 압류채권자에 이전하는 대물변제(代物辨濟)적(的) 형식을 취하므로 집행(執行)채권자(債權者)는 제3채무자가 무자력(無資力)일 때에는 그 위험을 부담한다.2. 요건(要件)
전부명령(轉付命令)을 발령하려면 ①당해 법원에 관할권(管轄權)이 있을 것 ②적법한 신청(申請)이 있을 것 ③그 신청이 형식상 적…(To be continued )1) 강제집행(强制執行)의 일반적 요건 및 채권(債權)압류(押留)명령(命令)의 존재
2) 권면액(券面額)이 있을 것
3) 양도(讓渡)성(性)이 있을 것
4) 압류(押留), 가압류(假押留)의 경합(競合)이나 배당요구(配當要求)가 없을 것
5) 가집행(假執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