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8-06 00:07
본문
Download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hwp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
Ⅲ. 음운론
음성(언어음): 말에 쓰이는 소리
음성의 특성(特性)
음성을 파악하는 두 가지 방법
① 음성학: 자연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어떤 발음기관이 어떠한 발음기관에 의하여 생성 되며, 그것이 만들어 내는 음파의 특성(特性)은 어떠한가 등을 observe하는 길
② 음운론: 음성들이 그 언어에서 하는 기능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길
⇒ ①, ② 모두 음운론의 이름 안에서 다루기로 함.
1. 발음기관
음성을 산출하는 데 쓰이는 신체의 각 부위
조음체, 조음점
음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발동부(허파에서 음성에 필요한 기류를 만들어 냄) → 발성부(기류가 성문을 통과하면서 성대의 진동을 일으킴) → 조음부(성문을 통과한 기류가 구강과 비강에서 여러 발음기관의 작용으로 갖가지 음성으로 조정됨
조음체(능동조음체): 조음에 참여하는 발음기관 중 입 안 아래쪽에 있는 아랫입술, 혀 등 능동적으로 움직이는 부분.
조음점(수동조음체): 조음체들이 닿는 입천장, 윗니, 윗잇몸, 윗입술 등 자음의 조음 위치와 관련된 기관 가운데 조음체가 접근하는 자리. 스스로 움직이지 못하는 발음기관.
혀
설첨: 혀의 제일 앞쪽 끝.
설단: 혀의 앞부분. 입을 가만히 다물고…(생략(省略))
순서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자음과,모음,각,소리,어떤,방식,발음되는지를,알아보고,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hwp( 83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한국어의 자음과 모음 각 소리가 어떤 방식으로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인문사회레포트 , 외국어로서의한국어학개론 한국어 자음과 모음 각 소리 어떤 방식 발음되는지를 알아보고
레포트/인문사회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