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09 00:08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hwp
그러므로 합성에서는 현대국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대표적인 두 경우가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파생에서는 `N/R+Suf`형의 파생명사,사동사·피동사, 파생부사의 형성을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국어 파생의 한 부분만을 다룬 것이 된다. 합성으로는 `N/R+N`(`R`은 어근)형의 합성명사와 `V1-어+V2`형의 합성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파생으로는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합성은 두 개의 어기를 가진다는 점에서 통사론적 성격을 다분히 띠고 있는 형태론적 과정이다. 합성으로는 `N/R+N`(`R`은 어근)형의 합성명사와 `V1-어+V2`형의 합성동사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파생으로는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파생은 일반적으로 합성보다는 통사론적 측면을 덜 가지지만, 본고에서 택한 파생명사와 파생형용사의 형성은 어기 자체의 구조적 복잡성이나, 어기와 접미사의 통합관계, 그리고 형태론적 구성과 통사론적 구성의 구별 등의 통사론적 접근을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안고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는 그 내부구조의 분석에 통사론과 형태론의 두 층위에 걸치는 단순치 않은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어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한다는 본고의 한 목적을 위해 가장 먼저 조명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합성을 다룰 때나 파생을 다룰 때나 통사론적 접근법을 최대한 적용해 보고자 한다. 그러나 `(X+)V-Suf`형의 파생명사와 `N/R+Suf`형의 파생형용사는 그 내부구조의 분석에 통사론과 형태론의 두 층위에 걸치는 단순치 않은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국어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한다는 본고의 한 목적을 위해 가장 먼저 조명되어야 할 부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생성형태론의 등장 이후 국어의 파생어 형성에 대한 연구는 이전의 구조주의적형태론의 성과를 바탕으로 하여 많은 파생어 형성규칙들이 다루어짐으로써, 그 기술이…(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
다. 본고에서는 합성어의 의미론적 측면이나 음운론적 측면보다는 그 내부 요소들의 통합관계에 관심을 가짐으로써 보다 더 통사론적 관점에서 합성어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Download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hwp( 77 )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인문사회레포트 ,
이 연구는 현대국어에서 합성과 파생에 의한 단어형성의 기제와 단어형성의 결과인 복합어의 내부구조를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므로 합성명사 논의에서는 사이시옷을 의미론적 측면이나 음운론적 측면에서의 고찰보다는 통사론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 할 것이며, 합성동사 논의에서는 합성동사 구성과 접속구성, 내포구성과의 차이를 밝히는 데 상당한 관심을 보일 것이다. 그러므로 합성에서는 현대국어에서 가장 생산적인 대표적인 두 경우가 다루어졌다고 할 수 있으나, 파생에서는 `N/R+Suf`형의 파생명사,사동사·피동사, 파생부사의 형성을 다루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국어 파생의 한 부분만을 다룬 것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