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9-12 14:14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ppt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ppt( 44 )
설명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 ,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인문사회레포트 , 훈민정음 훈몽자회 국문의정안 한글맞춤법통일안 남북한 자모 명칭
‘ㄱ’은 어떻게 ‘기역’이 되었을까
`훈민정음` 과 `훈몽자회`
`한글맞춤법통일안`부터 현재까지
남북한의 자모 명칭 비교
목차
`국문연구의정안`과 그 외
`훈민정음` 과 `훈몽자회`
훈민정음
- 훈민정음에는 자음의 명칭이 나타나 있지 않다.
- 개음절
- 1음절
- 양성모음 혹은 중성모음
- 기, 니, 디, 리
훈민정음 훈몽자회
2. 훈몽자회
- 조선 시대의 역관 최세진이 1572년 어린아이들에게 한자를 가르치기 위해 편찬한 책으로, 3000여자의 한자의 음과 뜻이 실려 있따
- 오늘날 훈몽자회는 당초의 목적보다는 훈민정음의 보급과 현대 맞춤
법에의 effect(영향) 측면에서 더 주목을 받고 있따
훈민정음 훈몽자회
2. 훈몽자회
ㄱ(其役기역) ㄴ(尼隱니은) ㄷ(池末디귿) ㄹ(梨乙리을) ㅁ(眉音미음)
ㅂ(非邑비읍) ㅅ(時衣시옷) ㅇ(異凝이응)
- 초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연구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의 자모 명칭






훈민정음,훈몽자회,국문의정안,한글맞춤법통일안,남북한,자모,명칭,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