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와증여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1 10:58
본문
Download : 상속세와증여세.hwp
증여세나 상속세는 재산을 무상으로 받는 다는 점은 같지만, 사망의 Cause 에 의해 재산을 취득하는 상속과, 증여자와 증여를 받는 수증자간의 의사에 의해 재산을 취득하는 증여와는 사망과 증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따
2.과세대상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가지고 있던 모든 재산에 대해 과세된다된다.
상속세는
① 상속 재산가액 산정
② 과세표준 산정(상속 재산가액 - 공과금 - 장례비 - 채무 - 기초·인적·일괄공제)
③ 상속세 산정(과세표준 × 세율) 등 3단계로 나눠 산정한다.
또 상속인의 인원과 분배내용에 상관없이 전체 상속 재산을 기준으로 계산되는게 원칙이다.
③ 배우자 공제 : 법정 상속 지분 내에서 배우자가 실제로 상속 받은 가액
④ 기타 인적 공제 - 자녀 공제 : 1인당 3,000만 원
⑤ 일괄공제 : <2번 기초공제 + 4번 기타 인적공제>를 대신하여 일괄로 5억 원 공제 가능.일괄 공제를 택할지, `기초공제 + 기타 인적공제`를 택할지는 납세자 자유.
⑥ 금융재산 공제 : 금융재산에서 금융부채를 차감한 순 금융재산의 20%(2억 원 한도)
⑦ 재해 손실 공제 : 신고기한 이내에 발생된 상속 재산의 재해손실 가액
레포트/경영경제
상속세와증여세
순서
상속으로 재산을 물려받은 사람(상속인)이 납부하는 세금으로 상속은 노력의 대가가 아닌 무상으로 재산을 물려받은 것이라는 점에서 세금이 무겁게 부과된다
상속으로 재산을 물려받은 사람(상속인)이 납부하는 세금으로 상속은 노력의 대가가 아닌 무상으로 재산을 물려받은 것이라는 점에서 세금이 무겁게 부과된다.상속세와증여세 , 상속세와증여세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상속세와증여세
설명





Download : 상속세와증여세.hwp( 72 )
다.
단 상속 재산가액에서 상속인이 내야할 공과금, 장례비용, 채무(상속 개시 전 10년 이내에 피상속인이 상속인에게 진 증여채무와 상속 개시 전 5년 이내에 피상속인이 상속인 이외의 자에게 진 증여 채무) 등은 공제한다. 모든 재산이란 상속인 명의의 재산 뿐만 아니라 증여재산과 간주 상속 재산도 포함되는 정의(定義) 이다. 먼…(dr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