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文化(문화)와 살인범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0-24 14:01
본문
Download : 폭력문화와 살인범죄.hwp
④ Matza의 중화theory
: 그는 비행靑少年들도 역시 비행이 나쁜 행동으로 인지하고 있따 그렇다면 왜 그들은 나쁜지 알면서도 나쁜 행동을 하는가? 그들은 비행을 저지르기 전에 비행을 합리화 혹은 중화(neutralization)한다. 사회에는 여러 유형의 정당화된 폭력과 합리화된 폭력이 존재한다. 이러한 중화의 기술은 비행靑少年들에게서만 발견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사회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것으로 잠재적 가치의 연장으로 보아야 함. Matza의 논의는 폭력하위文化theory
과 접목시킬 수 있따 어느 사회를 막론하고 定義(정의)
적인 폭력에 대한 태도에는 합의가 존재한다.
Download : 폭력문화와 살인범죄.hwp( 68 )
,인문사회,레포트
폭력문화와살인범죄 , 폭력문화와 살인범죄인문사회레포트 ,
폭력文化(문화)와 살인범죄
폭력文化(문화)와살인범죄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여기에서 폭력에 대한 합리화가 하위文化의 속성 으로 지적되고 있따
폭력적 하위文化란 상황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폭력적인 대응을 취하는 방향을 취함. 폭력적인 하위文化에서 해석되는 폭력의 의미는 비폭력적인 文化에서 해석되는 것과 다를 수 있음. 폭력이라는 같은 행동이 文化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됨. 더 나아가 폭력을 합리화 및 정당화되는 가치 및 규범이 존재한다. 즉 강도, 강간, 살인 및 폭행 등을 비롯한 최협의의 폭력은 물론, 심리적 강제를 포함하는 최광의의 폭력에도 합의가 있따 폭력이 행사된 상황에 따라서 폭력에 대한 정당화 및 합리화가 존재한다. <…(To be continued )
1) 공권력의 집행이라는 측면에서 국가가 독점한 합법적 폭력은 폭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것 자체가 위법이 되기도 하며, 더 나아가 전쟁 상황에서 적군을 살해하는 행위는 애국적인 행위로 미화되며, 오히려 살해하지 않는 행위가 위법이 됨.
다. 즉 자기들의 행동, 즉 비행이 일반적으로 나쁘지만 여러 가지 상황적인 이유로 인하여 나쁘지 않거나 이해될 수 있는 행동이라고 합리화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