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12-10 18:38
본문
Download :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pptx
조선 성종 조에 속악을 종묘악으로 새로이 산정할 때 ‘남녀상렬지사’로 지목된 첫 작품으로, `쌍화점` `만전춘별사` `이상곡` 등과 함께 궁중악에서 제외되었다.
_SLIDE_4_
_SLIDE_5_
2) 어휘적 논의
①
‘버리고’라는 비존칭으로 보는 견해‘-시-’라는 주체높임선어말어미가 들어간 존칭법
→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 ,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인문사회레포트 , 서경별곡 원문과 어휘적 논 원문과 현대역 어휘적 논의
다.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순서
서경별곡,원문과,어휘적,논,원문과,현대역,어휘적,논의,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서경별곡,원문과 어휘적 논의,원문과 현대역,어휘적 논의.pptx( 79 )
_SLIDE_1_
`서경별곡`의 결합양상과 화자
_SLIDE_2_
1. 현대어의 원문과 어휘적 논의 1) 원문과 현대역 2) 어휘적 논의 2. 결합양상 1) ‘구슬노래’의 논의 2) 노래의 짜임과 형성과정 3) 의미단락 구분 3. 화자의 성격 및 의미
목차_SLIDE_3_
1. `서경별곡`의 원문과 어휘적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