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불교 쁘라마나학파에서의 요가수행자의 증지』에 대한 논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4 03:48
본문
Download : 『불교 쁘라마나학파에서의 요가수행자의 증지』에 대한 논평.hwp
그래서 본 논평에서는 논자의 논의를 따라서 논점을 요약하면서 디그나가의 관점과 차이점이 있는 경우나 평자의 관점과 차이점이 있는 경우에 그것을 기술하는 형식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그 밝힘의 과정에서 불교적 인식론의 특성 뿐만 ... , 『불교 쁘라마나학파에서의 요가수행자의 증지』에 대한 논평인문사회레포트 ,
한마디로 말한다면 `수행자의 證知`가 어떻게 분별을 떠난 現量이 될 수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그 밝힘의 과정에서 불교적 인식론의 特性 뿐만 아니라 그와 연관된 불교적 존재론의 特性까지 드러낼 수 있었다는 것은 이 논문의 성과로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논문의 논의는 주로 다르마끼르티의 저서와 그에 대한 주석서들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評者의 管見으로는 이러한 논의가 디그나가(陳那)가 제시한 쁘라마나학파의 기본관점과 다소 차이점이 느껴진다.
이 세단계의 인식론적 구조에 대하여…(drop)
Download : 『불교 쁘라마나학파에서의 요가수행자의 증지』에 대한 논평.hwp( 98 )
설명
다.
1.
이 논문에서 드러낸 `수행자의 證知`에 대한 인식론적 구조는 삼법인이나 사성제와 같은 대상을 1) 성문지에 의해 포착하고 2) 사량지에 의해 확립한 후에 3) 止와 觀을 통해서 증득한다는 구조로 정리(整理) 할 수 있다 이러한 次第(krama)는 다시 加行(prakar a)→邊際(paryanta)→現量(pratyak a)으로 체계를 이룬다.

한마디로 말한다면 `수행자의 證知`가 어떻게 분별을 떠난 現量이 될 수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그 밝힘의 과정에서 불교적 인식론의 속성 뿐만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불교 쁘라마나학파에서의 요가수행자의 증지』에 대한 논평
순서
한마디로 말한다면 `수행자의 證知`가 어떻게 분별을 떠난 現量이 될 수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