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27 15:00
본문
Download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hwp
그 심사내용은 노동조합으로서의 적격여부(동법 §2조 4호 단서 각목 해당여부)의 확인, 또 설립과정에서의 적법성 및 규약에 대한 것이며, 자유설립주의를 원칙으로 하므로 이때의 심사는 형식적 심사에 그쳐야 한다.노동조합의설립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경영경제레포트 ,
다.
노동조합의설립
Download :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hwp( 21 )
,경영경제,레포트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한 연구
순서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해 정리(arrangement)한 report 입니다.
【참고】‘행정관청’의 의미
연합단체인 노동조합과 2 이상의 특별시·광역시·도·특별자치도에 걸치는 단위노동조합의 경우에는 노동부장관이 행정관청이고, 2 이상의 시·군·구(자치구를 말함)에 걸치는 단위노동조합의 경우는 특별시장·광역시장·도지사가 행정관청이 되며, 그외의 노동조합의 경우는 특별자치도지사·시장·…(skip)
설명
노조법상 노동조합의 설립에 대해 정리한 레포트 입니다.
레포트/경영경제
노동조합및노동관계조정법 제5조에서는 「근로자는 자유로이 노동조합을 조직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있다」고 규정하여 노동조합의 설립원칙으로 자유설립주의를 채택하고 있다아
2. 신고주의의 가미
그러나 동법 제10조에서는 「노동조합을 설립하고자 할 때에는 설립신고서에 규약을 첨부하여 행정관청에 신고」하도록 함으로써 신고주의를 가미시키고 있다아 신고주의의 도입취지는 행정관청이 노동조합의 설립과정을 심사함으로써 설립과정이 적법하게 그리고 민주적으로 진행되었는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