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디아워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5 08:21
본문
Download : 여성학디아워스.hwp
전통적으로 예술과 철학에 목말라 하고 일상적으로 형이상학적 고뇌에 몰두해있는 남성 예술가들의 우울이 멜랑콜리였다.
순서
다. 버틀러가 `젠더의 멜랑콜리`라고 부른 이 증후는 이성애를 규범화함으로써 능동적이고 우월한 남성성과 수동적이고 열등한 여성으로 내면화하게 되는 젠더 정체성의 형성에서 동성애에 대한 억압으로 형성된 멜랑콜리적 증후이다. 주디스 버틀러는 이성애 제도적 틀 안에서 젠더가 생산되는 데에 동성애의 멜랑콜리적 부정/보존의 메커니즘이 작용한다고 보았다. 여성작가의 우울은 병적인 광기, 이성의 강인함과 대비되는 연약한 지성의 결과로 여겨졌는데, 이 영화는 여성의 이러한 우울을 정체성의 근본적인 불안정성, 여성의 동성애적 욕망, 여성의 언어화할 수 없는 본질적 자아에 대한 추구와 관련된 것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의미의 멜랑콜리에 도전하는 여성의 멜랑콜리를 보여주고 있다아 자아의 내부에서 상실된 것, 잃어버린 총체성에 대한 추구, 어머니, 신, 혹은 이상과 자신이 연결되어 있음을 주장하는 멜랑콜리는 상실의 병이자 상실을 부정하는 병이다. 금지를 내면화하면서 보전하는 멜랑콜리적 증후를 통해 이 영화에서 도식적으로 제시되는 각각의 세 번의 여성들 사이의 입맞춤은 단지 여성의 동성애를 암시할 뿐아니라 여성의 동성애에 대한 억압으로 암시되는 가부장제적 여성성의 내면화의 틈새를 뚫고 나…(drop)
Download : 여성학디아워스.hwp( 81 )
여성학디아워스에 대한 글입니다. 남성의 멜랑콜리가 세속적 질서에서 초탈한 예술가들을 위한 우월감을 위해 타락한 세상에 대한 강력한 은유로 여성을 비난하며 스스로 숭고한 존재들임을 자처한다면, 여성의 멜랑콜리는 성별 위계를 내면화해야 하는 여성들의 낙담, 좌절과 분노를 표현하면서 여성 정체성의 새로운 定義(정이)를 요구하는 언어화 이전의 증후이다.여성학디아워스 , 여성학디아워스의약보건레포트 ,
여성학디아워스
설명
여성학디아워스
,의약보건,레포트




여성학디아워스에 대한 글입니다.레포트/의약보건
이 영화의 세 여인의 상태를 페미니즘의 정신分析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여성의 정신착란은 규범적 여성성의 위치를 벗어난 모든 여성들의 존재의 불안정성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아 버지니아의 정신착란과 우울증은 남성의 멜랑콜리에 비해 병적인 우울이고 신경증적인 증상으로 치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