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컴퓨터의 활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1 08:18
본문
Download :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컴퓨터의 활용.hwp
첫번째 시험에서는 다수의 학생들이 정교파의 reaction response을 나타내었고(73%), 두번째 시험에서는 집중파의 reaction response을 나타내었다(60%). 이것은 그림 그리기에서의 경험부족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즉시 과제課題를 처음 하여 비교적 오랫동안 작업을 한 것으로 추측된다 각 도구의 사용시간, 총 시간, 도구 변경회수 등이 <표 4>에 나타나 있다아 짐작대로 첫 시험에서 얻은 경험의 결과로 모든 도구의 사용시간과 총 작업 시간, 도구 변경회수의 수치가 첫번째보다 두번째 시험에서 적었다. 각 그림은 한 화면에 하나씩 제시되며, 학생들이 그림을 선택할 때마다 문항번호가 개인카드에 자동적으로 기록되었다. 두번째 시험에서는 집중파가 9명, 초기완성파와 정교파가 각 2명씩, 충동파와 지연파가 각 1명씩이었다. 이 영역에 대해 토런스(1974)는 “대부분이 주어진 10분을 다 사용할 것이다 많은 수(3분의 1)가 10개의 그림을 모두 완성할 것이고… 열 개의 그림을 완성하지…(생략(省略))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컴퓨터의 활용
첫번째 시험에서는 11명의 학생들이 정교파(high elaborators)의 반응패턴을, 3명이 집중파(concentrators), 1명이 충동... ,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컴퓨터의 활용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창의적인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으로서의 컴퓨터의 활용.hwp( 42 )
다.두번째 활동 영역에서는 10개의 미완성 그림을 흥미롭고 독창적인 그림으로 완성하는 것이다. 이것은 과제課題를 수행하는데 걸린 시간이 두번째 시험에서 줄어 들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タイトル 붙이기의 패턴을 살펴보면, 어떤 학생들은 그림을 그리기 전에 タイトル을 붙이고, 다른 학생들은 중간에, 혹은 그림을 완성한 후 タイトル을 정했다. 초기완성 파(early stoppers)나 지연파(procrastiators)의 reaction response패턴은 나오지 않았다. 정교파에서 집중파로 옮겨간 학생이 8명, 충동파에서 초기완성파의 reaction response 패턴으로 옮겨간 학생이 2명이었다. 세명의 학생은 같은 reaction response 패턴을 유지하였다. 열명의 학생들이 두번의 시험에서 같은 패턴을 유지하였다.
첫번째 시험에서는 11명의 학생들이 정교파(high elaborators)의 reaction 패턴을, 3명이 집중파(concentrators), 1명이 충동...






,인문사회,레포트
첫번째 시험에서는 11명의 학생들이 정교파(high elaborators)의 reaction response패턴을, 3명이 집중파(concentrators), 1명이 충동파(impulsives)의 reaction response패턴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두번째 시험에서 학생들은 그들의 reaction response을 처음 하기 전에 더 오랫동안 생각할 시간을 가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