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6-14 10:40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의 해설.hwp
국자의 뜻으로는 줄여서 ‘정음(正音)’이라고도 하며, 속칭 ‘언문(諺文)’이라고도 하였다. 이 국자 제정과 ‘해례’ 편찬은 정인지(鄭麟趾)를 비롯하여 당시 집현전(集賢殿) 학사인 최항(崔恒), 박팽년(朴彭年), 신숙주(申叔舟), 성삼문(成三問), 강희안(姜希顔), 이개(李塏),이선로(李善老) 등의 협조로 이루어졌다.
□ 훈민정음의 창제
훈민정음이란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이 1446년(세종 28) 9월에 제정, 공포한 한국의 국자(國字),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이름이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의 뜻이며(訓民正音諺解), ‘정음’은 ‘우리 나라 말을 정(正)히, 반드시 옳게 쓰는 글’임을 뜻한다(釋譜詳節序).
세종은 집현전에 모아 기른 인재들 가운데 정인지, 최항, 박팽년, 신숙주, 강희안, 이개,…(투비컨티뉴드 )
설명
훈민정음의 해설
Download : 훈민정음의 해설.hwp( 48 )
훈민정음의 해설






훈민정음의해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훈민정음의 해설훈민정음의해설 , 훈민정음의 해설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다. 글자로서의 훈민정음이 완성된 것은 1443년(세종 25)이었으며, 이것이 제정되자 그 창제 목적을 실천하기 위하여 금중(禁中)에 언문청(諺文廳)을 설치하고, 훈민정음의 해례(解例)와 같은 원리를 연구하게 하는 한편, 그 보급책의 일환으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를 짓고 운서(韻書)를 번역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공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