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 청주 무심천 살리기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5:43
본문
Download : 도시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 청주 무심천 살리기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hwp
따라서 그 동안 발행된 여러 자료들을 취합하여, 분류하고 짜맞추는 과정에서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관계자들의 견해를 물어 정리했다. 또 하천생태를 교란시키는 여러 사회구조들에 구체적으로 간섭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더구나 사람들은 긍정적인 사회활동과 경험에 의해 지역싸회에 대한 애착과 정체감을 강화하게 된다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Ⅳ. 무심천의 가치와 상황
1. 청주에서 무심천의 의미
“상당산 줄기에서 발원하여 청주평야를 펼쳐놓으며 미호천으로 합류하는 무심천은 선사시대 청주를 태동시킨 이래, 마한의 터로, 삼국의 접경으로, 의병항쟁의 중심으로 1500년간 청주의 文化(문화)를 잉태하고 발전시켜 왔다. 동시에 도심 한복…(skip)
도시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 청주 무심천 살리기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법학행정,레포트
Download : 도시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 청주 무심천 살리기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hwp( 86 )
청주지역에서 있었던 무심천 살리기 운동을 정리(arrangement)하고, 사회적 의미를 되새기고자 쓰여졌다. 또한 남아있는 유일한 녹지 친수공간으로서 산업화의 과정에서 파괴된 도시環境(환경)을 회복하고 단절된 생태계를 연결하는 고리이자 청주를 푸른環境(환경) 도시로 가꾸어 갈 수 있는 가능성이다. 무심천은 市民들에게 추억과 낭만이 깃든 마음의 고향으로, 쾌적한 環境(환경)과 아름다움 도시미관을 제공하는 역할을 해왔다.설명
순서
레포트/법학행정
청주지역에서 있었던 무심천 살리기 운동을 정리하고, 사회적 의미를 되새기고자 쓰여졌다.”(김승환, 1999, 무심천의 역싸적 가치와 文化(문화)적 의미)
이것이 청주에서 무심천의 위치다. 청주의 지리적 상징(land mark)이자, 오늘의 역싸를 가져온 씨앗이다. , 도시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 청주 무심천 살리기 운동 사례를 중심으로법학행정레포트 ,






Ⅰ. 여는 글
Ⅱ. 글의 구성
Ⅲ. 하천 살리기 운동의 의의
1) 하천과 인간사회
2) 하천과 지역공동체
Ⅳ. 무심천의 가치와 상황
1) 청주에서 무심천의 의미
2) 무심천 상황
Ⅴ. 청주지역 무심천 살리기 운동의 전개
1) 무심천에 대한 관심의 형성
2) 무심천 이용을 둘러싼 갈등
3) 무심천에 대한 재인식과 새로운 모색
Ⅵ. 무심천 살리기 운동의 성과 및 Task
1) 운동의 성과
2) 운동의 한계
3) 운동의 Task
Ⅶ. 부록
• 무심천 상황 자료(資料)
• 무심천 살리기 운동일지
• ·bibliography
따라서 이곳 태화강을 새롭게 가꿀 수 있다면, 이는 지역의 새로운 희망을 만드는 일이 될 것이다.
다. 개인이 갖는 유대관계, 지역에 대한 친숙함, 풍부한 경험 등은 그 사람으로 하여금 그 지역에 대해 긍정적으로 정체화하는데 이바지하는 것이다(전성표, 1999). 따라서 오늘 우리시대의 하천 살리기는 ‘도시 공동체’를 발전시키는 운동이며, 태화강 살리기는 울산공동체를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 특히 하천 살리기는 집안의 環境(환경)문제에만 관심이 있었던 市民들에게 지역싸회의 공동재산인 하천을 주목하게 함으로써, 마을 環境(환경)문제와 도시의 環境(환경)문제에까지 관심을 넓히게 한다.”(97. 6. 5. 무심천 선언문 중)
“무심천은 생존의 터전이며, 도시의 상징이자 생명의 젖줄이다. 한 하늘 이불을 덮고서 같은 산소를 나누고 있는 우리에게 무심천은 우리 머리를 편안히 해주는 베개와도 같은 마음의 안식처다. 따라서 그 동안 발행된 여러 資料들을 취합하여, 분류하고 짜맞추는 과정에서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부족한 부분은 관계자들의 견해를 물어 정리(arrangement)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