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희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09 00:55
본문
Download : [인문] 희곡.hwp
서구적 관념으로 희곡은 연극의 각본을 지칭하거나, 문학의 한 장르로서 시나 소설과 다른 형태를 의미하였다. 연극에는 언어나 소리 외에 회화, 조형 등의 요소가 혼재하기 때문일것이다 (레싱 Lessing의 <라오콘 Laocoon
![[인문]%20희곡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D%AC%EA%B3%A1_hwp_01.gif)
![[인문]%20희곡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D%AC%EA%B3%A1_hwp_02.gif)
![[인문]%20희곡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D%AC%EA%B3%A1_hwp_03.gif)
![[인문]%20희곡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9D%B8%EB%AC%B8%5D%20%ED%9D%AC%EA%B3%A1_hwp_04.gif)
Download : [인문] 희곡.hwp( 17 )
인문,희곡,인문사회,레포트
[인문] 희곡
다. 이를 흔히 인간의 언어가 희곡의 모태가 되었다는 `로고스 발생설`이라 한다. 따라서 연극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희곡이다. 이런 관점에서 `미모스 발생설`을 주장하기도 한다. china(중국) 원나라의 잡극(雜劇)과 명나라의 전기(傳記)가 희곡을 대표하며, 잡극에 이르러 그 형식이 정립되었으며, 이 때 희곡이라는 명칭도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연극은 신체 동작을 매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춤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20세기 초 희곡이라는 용어가 새롭게 사용되었지만, 그 의미는 china(중국) 의 잡극이나 전기와는 매우 다르게 변했다. 희곡은 음악처럼 언어나 소리처럼 시간적 資料를 사용하며, 그것을 감상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china(중국) 의 희곡 양식은 고려시대 일부 지식층에 의해 수용되었으나, 형식의 모방에 그쳤을 뿐 china(중국) 과 같은 연극적 완성도를 이루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