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분장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12 23:03
본문
Download : 기분장애_2067166.hwp
DSM-Ⅳ에서도 여자의 경우 10~25% 남자의 경우 5~12%의 평생유병률을 보고하고 있따 한국의 연구에서도 여성의 유병률은 9%로 남성의 5%에…(생략(省略))
A.다음 증상 가운데 5개(또는 그 이상) 증상이 연속 2주동안 지속되며 이러한 상태가 이전기능으로부터의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 위의 증상 가운데 적어도 하나는 (1)우울기분이거나, (2)흥미나 즐거움의 상실이어야 한다.
(2)모든 또는 거의 모든 일상활동에 대한 흥미나 즐거움이 하루의 대부분 또는 거의 매일같이 뚜렷하게 저하되어 있을 경우(주관적인 설명(說明)이나 타인에 의한 觀察(관찰) 에서 드러난다).
(3)체중조절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의미있는 체중감소나 체중증가, 거의 매일 나타나는 식욕감소나 증가가 있을 때(예: 1개월동안 체중 5%이상의 변화)
(4)거의 매일 나타나는 불면이나 과다수면
(5)거의 매일 나타나는 정신운동성 초조나 지체(주관적인 좌불안석 또는 처진 느낌이 타인에 의해서도 觀察(관찰) 가능하다)






정신건강8주차
기분장애에 대한 글입니다.정신건강8주차 , 기분장애의약보건레포트 ,
Download : 기분장애_2067166.hwp( 75 )
순서
기분장애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의약보건,레포트
다. 종종 신체증상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고 감기같은 전염성 질환에 약해 한번 걸리면 오래가는 경향이 있따
ㆍ역학
이른 경우 아동기 때부터 처음 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14세 경까지는 미미하게 발생하다가 청년 후기나 성인 초기에 발생이 증가하기 처음 하며 대개 40대 후반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미국의 DSM-Ⅲ-R의 기준에 따른 연구에 의하면 주요 우울증의 발생률이 여자에게서 2배가까이 높다고 한다. 서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가 일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분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불면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도 잠드는 데 어려움을 겪는가 하면 일찍 잠을 깨면 다시 잠드는 것을 어려워 한다.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오히려 많이 먹게되어 살이 찌기도 한다. 평생 유병률은 12% 가량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최근의 신뢰도가 높은 연구에서는 7.5~9.9% 가량으로 보고되고 있따 한국에서는 평생 유병률이 5.4~5.9%로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여자가 주요 우울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