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8:16
본문
Download :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hwp
2) 인保險(보험) 의 경우 (732조의 2의 문제)
종래 음주 운전과 무면허운전의 경우를…(생략(省略))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
상법상,음주운전,무면허운전,면책약관,효력,법학행정,레포트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 ,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법학행정레포트 , 상법상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면책약관 효력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순서
다. 인保險(보험) 의 경우에는 保險(보험) 계약자특의 중과실이 保險(보험) 자의 면책사유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법 제 732조의 2, 제 739조), 손해保險(보험) (여기서는 책임保險(보험) 만 문제)과 인保險(보험) 의 경우가 달리 판단되어야 한다.
Download : 상법상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hwp( 63 )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 면책약관의 효력
1. 들어가며
음주운전 및 무면허운전과 관련한 면책약관이 상법 제 659조나 제 732조의 2에 반하는 것인지 문제된다된다.
2. 판례의 동향
1) 책임保險(보험) 의 경우
종래 운전의 주체를 불문하고 무면허운전과 음주운전의 경우는 保險(보험) 자의 면책약관을 그대로 인정하였으나, 1991년 전원합의체 판결로 동 약관을 수정해석하여 保險(보험) 계약자나 피保險(보험) 자의 지배 또는 관리가능성이 있는 무면허운전에 대하여만 면책약관이 적용된다고 판시하여 입장을 변경하였다. 이러한 판례변경은 피해자보호의 관점에서 타당한 것으로 지지받고 있는데, 판례는 최근에도 이러한 입장을 일관되게 견지하면서 “지배 또는 관리가능성”이란 “책임保險(보험) 의 保險(보험) 계약자나 기명피保險(보험) 자의 승낙”이라고 하여 면책약관의 범위를 제한하는 태도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