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2:06
본문
Download :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hwp
3)연소 속도가 완만하고 착화온도가 높아진다.
순서
목재를 탄화시킨 2차 연료로서 참나무와 같은 굳은 나무를 완만하게 300℃로 탄화하고 다시 1,000~1,100℃ 정도로 정련하여 실외로 꺼내어 탄분, 흙, 재 등 혼합물로 급격히 소화한 백탄과 느름나무등 연한 나무를 500℃에서 탄화하고 800℃로 정련하여 가마에서 자연 소화시킨 흑탄이 있다.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7870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C%80%EA%B8%B0%EA%B4%80%EB%A6%AC%EC%84%A4%EA%B3%84%5D%20%EC%97%B0%EB%A3%8C%EC%99%80%20%EC%97%B4%20%EC%84%A4%EB%B9%84%EC%9E%A5%EC%B9%98%EC%97%90-7870_01.jpg)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7870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C%80%EA%B8%B0%EA%B4%80%EB%A6%AC%EC%84%A4%EA%B3%84%5D%20%EC%97%B0%EB%A3%8C%EC%99%80%20%EC%97%B4%20%EC%84%A4%EB%B9%84%EC%9E%A5%EC%B9%98%EC%97%90-7870_02_.jpg)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7870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C%80%EA%B8%B0%EA%B4%80%EB%A6%AC%EC%84%A4%EA%B3%84%5D%20%EC%97%B0%EB%A3%8C%EC%99%80%20%EC%97%B4%20%EC%84%A4%EB%B9%84%EC%9E%A5%EC%B9%98%EC%97%90-7870_03_.jpg)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7870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C%80%EA%B8%B0%EA%B4%80%EB%A6%AC%EC%84%A4%EA%B3%84%5D%20%EC%97%B0%EB%A3%8C%EC%99%80%20%EC%97%B4%20%EC%84%A4%EB%B9%84%EC%9E%A5%EC%B9%98%EC%97%90-7870_04_.jpg)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7870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C%80%EA%B8%B0%EA%B4%80%EB%A6%AC%EC%84%A4%EA%B3%84%5D%20%EC%97%B0%EB%A3%8C%EC%99%80%20%EC%97%B4%20%EC%84%A4%EB%B9%84%EC%9E%A5%EC%B9%98%EC%97%90-7870_05_.jpg)
③석탄
태고의 식물이 지하에 매몰되어 지압, 지열 작용으로 열분해를 일으켜 탄소분이 풍부하게 변성된 것이며 석탄은 일반적으로 탄화도에 따라 이탄, 갈탄, 역청탄, 무연탄 등으로 분류하는데, 탄화도란 석탄의 成分이 變化되는 진행 정도를 의미한다.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 관해
연료란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발생된 연소열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연물질을 말하며 연료의 상태에 따라 고체연료, 액체 연료 및 기체연료로 나눈다. 2)수분 및 휘발물이 감소한다.
②목탄(숯)
설명
연료란 공기 중의 산소와 反應(반응)하여 발생된 연소열을 경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연물질을 말하며 연료의 상태에 따라 고체연료, 액체 연료 및 기체연료로 나눈다.
탄화도가 클 경우 1)고정탄소의 양이 증가하고 산소의 양이 줄어든다.
다.
①목재(신탄)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Download : [대기관리설계] 연료와 열 설비장치에.hwp( 80 )
대기관리설계,연료와 열 설비장치,연료,열
가장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연료의 하나로서 견목과 전목으로 구분이 된다.
발열량이 3,000~4,000kcal/kg정도이며 착화온도가 240~270℃, 비열은 0.33kcal/kg∙℃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