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경험언어학습(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5-17 18:58
본문
Download : [1]초등영어교육방법론.hwp
9. 출처
2. 배경
경험언어학습, Experiential Languag, 초등영어방법론, 초등학습지도안
-“Experiential” part + `Learning` part
4. 특징
경험적 언어 학습의 요건으로 analysis적인 좌측두뇌와 종합적인 우측 두뇌가 모두 관여하는 활동, 내용의 문맥화, 언어기능의 통합화, 실질적인 목적 등이 제시된다된다. 하지만 이러한 定義(정의)로는 오직 `experiential` 부분만 설명가능하며 다른 교수법(counseling learning, task-based learning, content-based learning, etc)과 구별할 수 없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 경험언어학습이란(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1]초등영어교육방법론-4538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7/%5B1%5D%EC%B4%88%EB%93%B1%EC%98%81%EC%96%B4%EA%B5%90%EC%9C%A1%EB%B0%A9%EB%B2%95%EB%A1%A0-4538_01.gif)
![[1]초등영어교육방법론-4538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7/%5B1%5D%EC%B4%88%EB%93%B1%EC%98%81%EC%96%B4%EA%B5%90%EC%9C%A1%EB%B0%A9%EB%B2%95%EB%A1%A0-4538_02_.gif)
![[1]초등영어교육방법론-4538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7/%5B1%5D%EC%B4%88%EB%93%B1%EC%98%81%EC%96%B4%EA%B5%90%EC%9C%A1%EB%B0%A9%EB%B2%95%EB%A1%A0-4538_03_.gif)
![[1]초등영어교육방법론-4538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7/%5B1%5D%EC%B4%88%EB%93%B1%EC%98%81%EC%96%B4%EA%B5%90%EC%9C%A1%EB%B0%A9%EB%B2%95%EB%A1%A0-4538_04_.gif)
![[1]초등영어교육방법론-4538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7/%5B1%5D%EC%B4%88%EB%93%B1%EC%98%81%EC%96%B4%EA%B5%90%EC%9C%A1%EB%B0%A9%EB%B2%95%EB%A1%A0-4538_05_.gif)
8. 언어경험접근법
경험언어학습(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is more than providing natural experiences so that learners acquire the language; it also deliberately teaches learners, as whole people, about how to learn.(Eyring, 1991)
설명
7. 언어경험학습과 전통적 교수법과의 비교
6. 언어경험학습의 중요성
Download : [1]초등영어교육방법론.hwp( 45 )
[교육] 경험언어학습(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5. 현장적용시 유의점
순서
3. 경험언어학습
10. 모의수업지도안
1. 경험언어학습이란?
☆★☆“구체적인 경험(concrete experience)을 통해 문제를 해결(problem-solving)하는 과정에서 언어를 익히면서 학습자들에게 전인적 인간(whole people)으로서 어떻게 학습할 것인지에 관해(about how to learn) 알려주는 것이다”☆★☆
경험언어학습(Experiential Language Learning)
다.
경험언어학습은 교사가 언어를 직접 설명하기보다는 학습자들이 다양하고 구체적인 경험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과정에서 언어를 익히는 모든 교수법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경험으로부터 획득된 일반화가 어떻게 새로운 상황에 적용되는지에 관한 `learning` 부분을 또한 고려해야한다. environment과의 상호작용(시행착오, 언어에 대한 가설설정, 피드백 과정, 추측 등)을 통해서 지식을 발견하거나 사고 기능을 발달시켜한다는 학습theory(이론)을 적용하여 “Experiential” part와 `Learning` part를 통합해보면 경험언어학습이란 언어습득을 위해 단순히 자연스런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 이상으로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해주며 학습방법을 학습자들에게 의도적으로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