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data(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6-21 12:14
본문
Download : 국어학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hwp
국어학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에 대한 글입니다. 그리하여 완산이 언어적으로 아무런 유연성이 없는 비사벌이라는 별칭을 갖게 되자 사기 기록자는 이러한 사정을 파악하지 …(skip)
국어학data(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
,인문사회,레포트
up국어학data(자료)로서삼국사기지리지의성격
Download : 국어학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hwp( 22 )
국어학data(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에 대한 글입니다. 도대체 완산과 비사벌의 명칭이 전주와 창녕의 어디로 귀속되어야 하는가? 어느 한 편에 귀속된다면 나머지와 관련된 『삼국사기』 지리지 기록은 명백한 ‘기록상의 오류’가 되는데 이러한 오류의 연원은 어디에 있는가? 이러한 문제는 분명 국어사 연구 영역을 벗어난 것이다.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다. 그렇다고 해서 문제를 방치해 둘 수만은 없다. 사학자의 연구인 전영래(1975)와 이강래(1987)의 논증에 의하면 비사벌은 단지 창녕의 고호일 뿐이었다. 그런데 일찍이 가야 지역에 대한 백제의 거점이었던 창녕에 백제 주민의 집단 이주되어 있었다.up국어학자료로서삼국사기지리지의성격 , 국어학자료로서 삼국사기 지리지의 성격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창녕과 전주에 주를 설치하고 폐지한 것이 모두 진흥왕 16년(555)과 26년에 행해지고 있는데, 양 처에 동시에 주를 설득했다는 사실은 물론이고, 시기적으로 진흥왕대에 신라가 백제 지역인 전주에 주를 둘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없었다는 점에서도 분명한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후 이 지역에서의 신라 세력이 팽창되자 백제 주민이 완산으로 집단 복귀되면서 창녕의 고호 비사벌을 이주지역에 적용하게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