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와 다도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5-28 04:04
본문
Download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hwp
그는 군자(君子)를 지향함은 물론이고, 그 시대에 필요한 인물이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Download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hwp( 72 )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1.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2.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3.gif)
![[사회과학]구용구사의%20해석%20-%20예문화와%20다도학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2%AC%ED%9A%8C%EA%B3%BC%ED%95%99%5D%EA%B5%AC%EC%9A%A9%EA%B5%AC%EC%82%AC%EC%9D%98%20%ED%95%B4%EC%84%9D%20-%20%EC%98%88%EB%AC%B8%ED%99%94%EC%99%80%20%EB%8B%A4%EB%8F%84%ED%95%99_hwp_04.gif)
레포트/인문사회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와 다도학
설명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 ,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인문사회레포트 , 사회과학 구용구사 해석 예문화와 다도학
순서
[사회과학]구용구사의 해석 - 예文化와 다도학
사회과학,구용구사,해석,예문화와,다도학,인문사회,레포트
구용구사의 해석
- 예문화와 다도학 -
1. 구용구사(九容九思)의 어원
십만양병설로 유명한 학자 율곡 이이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뛰어난 학자이자 정치가였다. 또 그의 어머니 신사임당은 한국 여성의 사표로서 추앙받는 인물로 이런 어머니 밑에서 자란 그는 어릴 때부터 비범한 재능을 선보이는 신동이기도 했다. 몸과 마음을 닦기를 강조했던 참된 유학자 율곡은 참된 선비란 나아가서는 한 시대에 도(道)를 행하여 백성으로 하여금 태평(太平)을 누리게 하고, 물러가서는 만세(萬世)에 교화(敎化)를 베풀어 배우는 자로 하여금 큰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사람이라고 했고, 그 스스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을 실천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참된 유학자로서 율곡의 모습과 아울러 국방의 총 책임자이자 나라의 未來를 대비하는 선견지명을 지녔던 그의 면모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에게 있어 학문이란 자기 자신…(drop)2. 구용구사(九容九思)의 해석
1) 구용(九容)
① 족용중(足容重) : 발을 무겁게 하라. 처신을 가볍게 하지 말라.
② 수용공(手容恭) : 손을 공손하게 하라
③ 목용단(目容端) : 눈을 단정하게 두어라.
④ 구용지(口容止) : 입을 함부로 놀리지 말라
⑤ 성용정(聲容靜) : 말을 차분하고 조용히 하라
⑥ 두용직(頭容直) : 머리를 곧게 세워라
⑦ 기용숙(氣容肅) : 숨소리를 고르게 하라
⑧ 입용덕(立容德) : 서 있을 때 품위 있게 해라
⑨ 색용장(色容壯) : 얼굴 빛을 밝고 씩씩하게 하라
2) 구사(九思)
① 시사명(視思明)
② 청사총(聽思聰)
③ 색사온(色思溫)
④ 모사공(貌思恭)
⑤ 언사충(言思忠)
⑥ 사사경(事思敬)
⑦ 의사문(疑思問)
⑧ 염사란(念思亂)
다. 그는 호조좌랑, 황해감사, 대사헌, 병조판서 등 요직을 두루 관장하면서 그야말로 경세치민의 본분을 다하고자 노력했던 대표적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