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어 접두사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1-30 06:45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 접두사 연구.hwp
국어의 조어법 연구에서 접두사라는 용어와 함께 접두사의 개념(槪念)이 처음으로 나타난 것은 안확의 <조선문법(1917)>에서이다.
Download : 현대국어 접두사 연구.hwp( 92 )
현대국어 접두사 연구
국어의 형태론 분야 가운데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주시경(1910)에 기술된 내용이 최초인 듯하다. 안확(1917)은 단어 分析(분석)에서 주시경이 分析(분석)한 [언](관형사)의 세움을 비난하면서, ‘별종의 어’라는 ‘어휘론’을 세웠다. 그러나 파생법에 의한 파생어의 보기 가운데 접두사에 의한 파생어의 예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주시경(1910)에서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순서






국어의 형태론 분야 가운데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주시경(1910)에 기술된 내용이 최초인 듯하다. ‘기몸박굼’과 ‘기뜻박굼’은 대체로 파생법에 해당되고, ‘기몸헴’은 합성법에 해당된다된다. 주시경(1910)에서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 현대국어 접두사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접두사에 의한 파생은 통사범주의 alteration(변화) 가 없으므로 파생의 경우로 취급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된다. 이 중 접두어는 ‘어두에 접합하여 일어를 성하는 것’이라고 definition 하고 접두어로는 ‘애-, 맨-, 갓-, 새-, 싯-, 당-’을 제시하고 있다아 안확(1917)은 주시경이 分析(분석)한 ‘언(관형사)’을 접두어로 취급하고 있다아 이처럼 접두어의 개념(槪念)을 세우기는…(투비컨티뉴드 )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국어의 형태론 분야 가운데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주시경(1910)에 기술된 내용이 최초인 듯하다. 주시경(1910)에서 조어법에 관계되는 것은 ‘기몸박굼(변체)’과 ‘기몸헴(단어의 단복성)’ 그리고 ‘기뜻박굼(변의)’이다. ‘별종의 어’는 ‘접두어, 접미어, 숙어’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