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3-24 00:20
본문
Download :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hwp
이는 이름에 대응하는 음파와 같은 물리적 현상이 수용할 수 있는 부호로 변형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부호로 변형된 후에, 다음 만날 때까지 그 부호를 기억 속에 저장해 두어야 한다. 기억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보를 받아들여야 한다. 그 다음에는 기억 속에 부호로 저장된 이름을 끄집어내야 되는데, 이 단계가 인출단계이다. 우리가 처음으로 사람을 introduction 받았다고 하자. 그 사람의 이름과 얼굴모양 등을 집어넣게 되는 단계를 부호화 단계라고 한다. 만약 다시 만났을 때 그 사람의 이름을 기억해내지 못한다면, 이 세 단계의 조작 중 어느 한 단계가 실패했음을 의미하며 곧, 이것이 망각(forgetting)이다.
…(To be continued )
다.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Download :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hwp( 35 )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순서
기억,과정과,구조,감각기억,단기기억,장기기억,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인문사회레포트 , 기억 과정과 구조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기억의 과정과 구조
기억의 과정과 구조(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CONTENT
기억의 과정과 구조
I. 기억과정
II. 기억구조
1. 감각기억
2. 단기기억
3. 장기기억
4. 단기기억과 장기기억의 관계
서지사항
기억의 과정과 구조
I. 기억과정
기억과정은 앞서 정보처리 접근에서 보았듯이 인간의 기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3단계, 즉 부호화(coding), 저장(storage), 인출(retrieval)로 구분한다. 이것이 저장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