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4-04-14 19:10
본문
Download :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hwp
Ⅱ. -sam의 역싸적 발전과정
원래 근대고지독어 -sam 형용사접미어는 이미 초기 게르만 시대에 복합어의 둘째 성분(成分)으로 사용되면서(z.B. lustusams ‘ersehnt’ < lustus M. ‘Lust, Verlangen’1)), 고대고지독어 시대에 이르러서는 자주 der samo가 대명사…(省略)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1.gif)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2.gif)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3.gif)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4.gif)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5.gif)
![[논문]%20독일어%20-sam%20형용사에%20대한%20연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B%85%BC%EB%AC%B8%5D%20%EB%8F%85%EC%9D%BC%EC%96%B4%20-sam%20%ED%98%95%EC%9A%A9%EC%82%AC%EC%97%90%20%EB%8C%80%ED%95%9C%20%EC%97%B0%EA%B5%AC_hwp_06.gif)
Download :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hwp( 69 )
논문,독일어,sam,형용사,인문사회,레포트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 ,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
[논문]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
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설명
독일어 -sam 형용사에 대한 연구*
Ⅰ. 서 론
근대고지독어에서 형용사를 파생시키는데 활용되는 -sam 접미어는, 다른 형용사 파생 접미어들(z.B. -bar, -haft, -ig, -isch, -lich 등)과 마찬가지로 비교적 생산적으로 활용되고 있따
언어 발달의 속성에 따라서 -sam 접미어도 역싸적으로 생성과 소멸을 거듭하면서, 오늘날의 형용사 파생접미어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미 초기 게르만어에서 출발한 것으로 생각되는 근대고지독어 -sam 접미어가 고대고지독어와 중세고지독어 시기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공시적 입장에서 살펴보고, 근대고지독어에 이르러 -sam 접미어가 기저어의 구조(즉 품사)에 따라서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며, 다른 접미어들과의 의미적 경합이나 의미적 대립관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살펴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