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윤리의 전통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9 03:32
본문
Download : 한국윤리의 전통.hwp
”
* 변법(變法) : 법을 고치는 것(근본적으로 뜯어 고치는 것)
* 동도서기(東道西器) : 동양에서는 정신적인 것을 서양에서는 물질적인 것을 수용하려는 사상. 19세기 중엽 서세동점(西勢東漸)의 정세 속에서 대내적으로 사회모순이 심화되어 체제변혁의 요구를 맞고 있던 한(韓)·중(中)·일(日) 3국이 상황의 타개를 위해 내세웠던 …(skip)




순서
4) 정약용의 사상(실학의 집대성자) * ㉠성리학의 전통적인 심성론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 ... , 한국윤리의 전통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한국윤리의 전통.hwp( 16 )
한국윤리의 전통
,인문사회,레포트
㉠성리학의 전통적인 심성론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 ...
다.
㉢덕 : 인간의 본성에 내재하는 것이 아니며, 일상적인 행위 속에서 실천하면서 형성되 는 것
㉣성기호설(性嗜好說):인간의 성은 대상에 대하여 좋아하고 싫어하는성향
㉤내면적 도덕성보다는 실천의지나 행위과정 중시
5) 19C말 윤리사상(위정척사. 동학사상. 개화사상)
①위정척사(衛正斥邪) : 올바른 것은 지키고, 거짓된 것은 배척한다.설명
4) 정약용의 사상(실학의 집대성자) *
레포트/인문사회
4) 정약용의 사상(실학의 집대성자) *
㉠성리학의 전통적인 심성론에서 벗어나 인간의 존재를 현실성과 개체적 자율성에 근 거하여 파악하려는 새로운 사상 전개
㉡인간의 심성 : 선이나 악으로 결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의 구체적인 실천을 통하여 결단을 촉구하는 자유의지이다.
㉠ 주리론의 影響을 받음
㉡ 자주 민족 정신. 인간 존중 정신. 호국정신
②동학사상(서학에 대항하여 민족 고유 사상인 경천사상을 기본으로 하면서, 유·불· 도의 사상을 융합하여 형성됨) → 사해평등주의. 인본주의. 반봉건주의
* 최제우 : 오심즉여심(吾心卽汝心). 천심즉인심(天心卽人心)
* 최시형 : 사인여천(事人如天)
* 손병희 : 인내천(人乃天).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
* 보우 : 천즉인인즉천(天卽人人卽天) => 불교사상 임
③개화사상(실학사상의 影響을 이어받음) : 주기론의 影響
“개발하여 變化시키고, 새로운 것에 나아가 자립하며, 長點을 기르고 단점을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