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국어의 형태론적 속성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 접속어미 ‘ 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9:49
본문
Download : 국어의 형태론적 특성 - 접속어미 -면서 의 통사적 기능.hwp
그 밖에도 구종남(1989)과 이은경(1990)에서는 ‘-면서’의 의미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특히 구종남(1989)에서는 ‘동시관계’의 의미를 띠는 경우를 ‘-면서’의 기본 의미로 설정하고 이 기본의미가 상황에 따라 ‘대립관계(양보)’로 해석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송 창 선 <차 례> Ⅰ. 문제의 제기 Ⅳ. ‘-면서’의 의미 Ⅱ. ‘-면서’의 형태 분석 Ⅴ. 마무리 Ⅲ. ‘-면서’의 통사 특성 Ⅰ. 문제의 제기 이 연구에서는 현대국어의 접속어미 ‘-면서’의 쓰임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면서’의 형태·통사·의미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김흥수(1978)와 김진수(1987b)에서는 ‘-고’, ‘-(으)며’, ‘-(으)면서’의 형태·통사·의미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했으며, 우명제(1988)와 윤평현(1994)에서는 ‘-며’와 ‘-면서’의 통사 및 의미상 관련성에 대해 세밀히 검토하였다. 이들은 대등적인 ‘-(으)면서’와 종속적인 ‘-(으)면서(도)’를 구분하지 않았으며 ‘-면서’가 쓰이는 상황에 따라 의미 해석이 달리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그는 대등적인 ‘-(으)면서’와 양보를 나타내는 종속적인 ‘-(으)면서(도)’의 두 가지를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이들 사이의 차이에 대한 논의도 하였다. 이들은 주로 ‘-면서’와 기능이 유사한 접속어미 ‘-고, -며’를 비교함으로써 그 사이에 존재하는 기능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주력해 왔다. 다른 한 갈래는 고영근(1975) 이후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연구이다. ...
[인문사회] 국어의 형태론적 속성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 접속어미 ‘ 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Download : 국어의 형태론적 특성 - 접속어미 -면서 의 통사적 기능.hwp( 29 )
순서
인문사회 국어의 형태론적 특성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 접속어미 ‘ 면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송 창 선 <차 례> Ⅰ. 문제의 제...
접속어미 ‘-면서’의 통사적 기능 송 창 선 <차 례> Ⅰ. 문제의 제...
다. ‘-면서’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최현배(1937 1980:306)에서 ‘-면서’를 ‘한때 벌림(동시 나열)’을 나타내는 접속어미로 다루었는데, 그 이후의 연구 경향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누어진다. 그 한 갈래는 고영근(1975)인데, 그는 ‘-면서’가 대등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종래에 전통문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양보”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