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과기술] Fil7182 / 정보 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 事例(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5:04
본문
Download : Fil7182.hwp
이러한 정보화의 국제화에 대한 주도적인 역할을 통해서만 아시아권역에 대한 우리 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제...
정보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프로젝트를 중...
Download : Fil7182.hwp( 60 )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공과기술] Fil7182 / 정보 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 事例(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공과기술 Fil7182 / 정보 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 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다.
순서
정보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事例(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프로젝트를 중...
정보도시의 구축과 도시간 협력instance(사례) 유럽디지털도시(EDC)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1. 지역정보화의 국제화추세 황주성 박사는 90년대 초반 이후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정보정책들이 지역정보화의 의미와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큰 기여를 하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미국 NIIAC의 Kickstart Initiative와 캐나다의 Smart Communities Initiative, 유럽차원의 각종 협력program(IRISI, Telecities, Bangermann Challenge 등)정책들은 “지역정보화를 지역개발이나 정보화의 지역간 불균형 해소를 위한 한계적 정책영역에 국한시키지 않고 수요와 참여 그리고 지역간의 협력에 기초한 정보사회 구현의 the giststrategy으로 정립시켰다”고 평가하고 있다 1) 이러한 평가는 지역정보화 정책방향이 내부지향성에서 벗어나 지역간, 나아가서는 국제적인 차원에서의 협력으로 나아가는 국제적인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앞으로의 지역정보화는 이러한 국제적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소모적인 아시아지역의 도시들간에 치열한 경쟁에서 벗어나 지역간 정보통신기술 어플리케이션개발과 활용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는 “아시아지역정보공동체형성”을 위한 정책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지역정보화의 국제화경향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고 여겨지는 1999년 12월 31일 종료된 유럽디지털도시 program의 경험을 정리(arrangement)하고, 현재 중앙부처, 광역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간에 개별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지역정보화정책에 벤치마킹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지역정보화를 활성화시키는 계기로 삼았으면 하는 바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우리 나라의 지역정보화정책은 전혀 국제적인 관점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